▲ 대학인마을 '먹구름' 중앙대 하남 캠퍼스 신설 이전 관련, 안성캠퍼스 매각설이 흘러나오면서 조성당시 헐값에 부지를 내놨던 토지주와 주민 및 각종 예산을 지원했던 안성시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사진은 토지구획정리사업 시행 후 '대학인 마을'이 들어선 캠퍼스 주변 대덕면 내리, 죽리 일원).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중앙대가 안성캠퍼스를 매각, 신설 예정인 하남캠퍼스로 이전하는 내용의 'CAU 2018' 계획안을 검토 중(경인일보 9월9일자 1면 보도)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안성시와 시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70년대 후반 안성캠퍼스 조성작업 당시 헐값에 학교부지를 내놨던 토지주 및 유치위 위원들과 학교의 각종 사업에 예산을 지원했던 시는 '지역민 배신행위'라며 강력 투쟁의지까지 밝히고 있다. <관련기사 3면> 10일 시에 따르면 지난 79년 중앙대 안성캠퍼스 설치 인가 이후 캠퍼스 교통망 확충을 위해 1987년부터 30억9천800만원을 투입, 안성천변과 대덕면 내리 캠퍼스까지 5㎞ 도로를 조성해 준 것을 시작으로 시가 대학측에 직접적으로 지원해 준 행정·재정적 지원금만 최소 2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시는 또 93년부터 99년까지 7년동안 내리와 죽리 일원 23만3천800㎡ 에 모두 161억4천만원의 예산을 투입, 캠퍼스 타운 '대학인마을'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시행했으며, 2000년 이후엔 창업보육센터 등 주요 연구동 건립·운영비에 3억6천만원을 쏟아부었다. 중소기업청과 경기도, 기업체들도 2000년 이후 각종 연구·시설 지원에 25억원을 내놨다.

내리와 죽리 등 캠퍼스 주변 주민들도 캠퍼스의 안정적 조성·운영을 위해 사실상 공짜에 가까운 금액으로 땅을 넘겼다고 주장하고 있다.

1977년 출범했던 캠퍼스 유치위원회와 주민들에 따르면 산은 3.3㎡당 150원, 과수원은 1천300~5천원, 전답은 3천~4천원씩에 매각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 부지들은 현재 학교용지의 경우 3.3㎡당 공시지가가 19만원, 주거전용지역은 55만원, 상업지역은 100만원에 달하고 있으며, 학교부지는 전체 공시지가만 1천500억원으로 시가는 3천억원 이상, 건물가까지 포함할 경우 총 4천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당시 11만5천500여㎡의 땅을 3.3㎡당 1천300원에 넘겼다는 김모(73)씨는 "우리 동네에 아들, 손자가 다닐 수 있는 대학이 들어선다는 사실에 수대째 지어오던 농지를 기꺼이 내놨다"면서 "학교를 이전하려면 그간 차익을 모두 안성에 내놓고 가야 할 것"이라며 분개했다.

한편, 김학용 국회의원과 이동희 안성시장, 김태원 안성문화원장 등 지역 주요 인사 및 19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중앙대 안성캠퍼스 이전반대 대책위원회는 지난 9일 안성시청에서 대책회의를 갖고, 중앙대 서울본교 항의방문단 구성 등 본격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