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최해민기자]임금체불 10건 중 9건은 경기, 인천, 서울 등 수도권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올 1월부터 지난달까지 110 콜센터에 접수된 임금체불 관련, 피해 상담전화 3천573건 중 설문응답 전화 1천358건을 분석한 결과 경기, 인천, 서울 등 수도권 상담사례가 전체의 90%(1천218건)를 차지했다고 15일 밝혔다. 임금체불 상담사례를 세부적으로 보면 50대가 가장 많았으며(38%), 40대(20%)와 30대(14%)가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여성(71%)이 남성(29%)보다 월등히 높아 여성의 임금체불 사례가 많은 것은 물론, 임금체불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 또한 여성들임을 알 수 있게 했다. 임금체불액은 퇴직금(9%)보다 월급(75%)이 밀린 사례가 훨씬 많았고 금액은 200만원 미만(76%), 2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17%)이 주를 이뤘지만 500만원 이상도 7%나 있었다.

체불 업체는 부동산 관련 업체(46%), 서비스업(13%), 건설업(13%) 순으로 회사부도나 대표자 연락두절 등 대체로 재정상 어려운 환경(67%) 탓에 체불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권익위 관계자는 "임금체불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홍보돼 있어 그럴 수도 있지만 어쨌든 이번 조사결과 수도권 지역에 임금체불 문제가 집중돼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며 "피해가 발생하면 관할 지방노동청에 직접 신고해도 되고 상담 후 지방노동청으로 신고접수까지 해 주는 110 콜센터를 이용해도 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