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부천/이제규기자]부천시가 환경부로부터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시범사업' 지자체로 선정돼 68억원의 국비를 지원받게 됐다.

24일 시에 따르면 이번 사업에는 전국 24개 지자체에서 신청을 해 경합을 벌였으며 사전심사를 통해 12개 지자체를 1차 선발했다. 이후 환경부의 미래환경 포럼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부천시를 최종 시범사업 지자체로 선정했다.

시는 그동안 2050년 미래 화석 연료부족에 따른 자체 에너지 자립화를 위해 2년전부터 전문 TF팀을 구성, 지난해 자체 모형실험을 실시하는 등의 노력을 해 온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굴포 하수처리시설의 잉여슬러지 전처리장치 설치가 상당부분 진척되고 있는 것과 하수시설에 도입가능한 모든 시설이 들어설 수 있는 '하수처리 패키지형' 시범사업을 실시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 등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시는 분석하고 있다.

시는 이번 시범사업 지자체로 선정됨에 따라 굴포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시범사업의 총 사업비 137억원중 68억원의 국비를 지원받게 됐다. 시는 2012년까지 3단계에 걸쳐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가스를 발전에너지로 전환하는 소화가스발전시설을 도입할 계획이다. 소화가스 연료화와 전력생산으로 에너지 자립률은 당초 6.9%에서 26.9%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시는 또 소화가스 외에도 소수력, 2013년 이후부터 풍력, 태양광, 2016년 이후부터는 하수열 회수시스템 등을 단계적으로 도입, 에너지 재이용이 가능한 모든 시설을 확대 도입해 2030년까지 에너지 자립화율을 5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