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부평구에서는 구 재정난 해결이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꼽힌다.

인천사람 5명중 1명은 부평에 살 정도로 인구는 많지만 부평구의 면적은 인천시 전체의 3%수준에 불과하다.

좁은 면적에 상대적으로 많은 주민들이 모여살고 있다보니 아무래도 사회복지 분야에 투입해야 하는 예산이 많을 수밖에 없다.

올해 부평구의 사회복지 비용이 전체 일반회계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57.5%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다. 이는 전국 69개 자치구와 비교할 때 열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높은 수치다.

이같은 부담을 덜어보고자 지난 1월 홍미영 구청장 등은 인천시 군수·구청장 협의회와 전국 시장·군수 구청장 협의회를 통해 조정교부금과 관련한 지방자치법 개정과 국세와 지방세간 세목구조 개편 등의 대책 마련을 정부에 요구했다.

부평구 도심 한복판을 점령해 온 미군부대 캠프마켓 부지 반환과 활용도 부평구의 빼놓을 수 없는 주요 현안이다. 더이상 물리적 확장이 불가능한 만큼 부평구가 활용할 수 있는 마지막 땅으로 남아있는 이곳을 주민들을 위한 방향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 이 지역 여론이다. 국방부와 총리실 등과 논의를 진행해야 하는 만큼 19대 국회의원이 해야 할 역할이 크다.

이밖에 굴포천을 생태하천으로 복원해 군사도시와 회색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삶의 질'을 높이는 것 또한 구민들이 바라는 점이다.

/김성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