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인천시는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 사무국의 유치 실패를 교훈으로 삼아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유치를 반드시 성공하겠다는 각오다.

지난 4월 중남미 파나마에선 씁쓸한 소식이 전해졌다. 정부와 서울시, 민간이 합심해 추진해 온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 사무국의 국내 유치가 실패로 돌아갔기 때문이다. IPBES는 생물다양성 분야에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패널(IPCC)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UN 산하 정부간 기구로, 이 기구가 서울에 유치되면 우리나라와 서울의 브랜드 가치 향상과 국내 바이오기술산업 육성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최종 유치도시는 독일의 본으로 결정됐다. 지난 4월 파나마에서 열린 IPBES 총회 2차회의에서 결선투표까지 가는 접전을 벌였지만, 끝내 독일에 4표차로 무릎을 꿇은 것이다. 독일은 막판 기존 제안서에 없는 추가 재정지원안을 꺼내들며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의 표심을 얻는데 성공했다.

정부와 시는 이 같은 실패가 이번 GCF 유치 과정에서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와 시는 GCF 유치활동을 진행하면서 재정이 풍부한 독일이나 스위스 등의 막판 원조제공 전략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아프리카 등 친유럽성향 국가에 대한 대책을 세우고 있다. 또 유럽에 집중돼 있는 국제기구의 형평성 측면을 강조하고 GCF사무국 유치노력의 진정성을 부각시킬 계획이다.

한태일 시 환경녹지국장은 "선진국의 무차별적 물량공세와 선입견 속에서도 침착한 대응과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업무 공조를 통한 치밀한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며 "GCF 이사국들에게 한국의 노력과 진정성에 대한 공감대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현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