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브레인시티 조성사업이 평택시와 시행사간 마찰로 수년째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최근 시행사가 제출한 사업계획서의 자금조달 방식을 놓고 두 기관이 또다시 갈등을 빚고 있다.

이로 인해 해당지역 주민들은 "주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사업추진을 중단하거나 삼성전자 협력단체를 유치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9일 시와 도원동 주민 등에 따르면 브레인시티 조성사업은 평택시 도일동 일원에 총사업비 2조3천72억원을 투입해 4.82㎢ 부지에 성균관대 신캠퍼스, 국제공동연구소 등과 친환경 주거공간이 어우러진 지식기반형 첨단복합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지난 2007년 사업 추진에 들어갔으나 시행사의 자금조달 미비 등을 이유로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또 지난달 30일 시행사인 브레인시티개발(주)가 5개 금융사와 2개 건설사 사업참여 의향서가 담긴 사업계획서를 시에 제출했지만, 시는 시행사가 평택도시공사와 사전 협의 없이 20% 지분참여를 전제로 금융 및 건설사 참여를 유도하고, 자금조달사들에도 확약서가 아닌 의향서를 받아온 것에 대해 보완을 요구, 사실상 원점으로 돌아간 상태다.

사업계획서에는 브레인시티개발(주)가 ktb투자증권을 주관금융사로 외환은행에서 6천203억원, 아이엠투자증권 4천827억원, KB국민은행 1천200억원, 신한은행 1천억원 등 총 1조1천30억원의 자금을 조달하고, 두산건설과 서희건설 등이 시공에 참여해 단지 조성 및 기반시설 공사의 책임준공을 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처럼 브레인시티 조성사업이 지지부진하자 지역 주민들은 시와 시행사에 사업 추진에 대한 결단과 대안을 조속히 내려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주민 김모(46)씨는 "시와 시행사간의 마찰로 사업이 지연되면 될수록 주민들의 피해만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어 사업 추진 여부에 대한 빠른 결단이 내려져야 한다"며 "사업 추진이 어렵다면 최근 김선기 시장이 간담회에서 밝힌 삼성전자 협력단체를 유치한다는 계획이라도 빨리 실현시켜 달라"고 말했다.

평택/김종호·민웅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