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개성공단으로의 출경을 불허한 3일 파주시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CIQ)에서 개성공단에 들어가려던 화물차량들이 되돌아 나오고 있다. 북한은 이날 개성공단 근로자의 남측 귀환만 허용하고 개성공단으로의 출경은 허용하지 않는다고 통보해 왔다. /하태황기자
북한이 개성공단 폐쇄위협 나흘 만인 3일 개성공단에 들어가려던 우리 측 인원의 통행을 금지하고 개성공단에 체류중인 우리 인력의 남측 귀환만 허용하겠다고 통보했다. 관련기사 6면

이에 우리 정부는 북한의 조치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즉각적인 통행 정상화를 요구하는 등 북한의 의도에 대해 면밀한 검토에 들어가는 한편, 신변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을 경우에 대비해 군사 조치를 마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이날 오전 개성공단관리위원회를 통해 통행금지 방침을 통보하면서 최근의 남북관계와 한반도 정세와 관련된 자신들의 입장을 전달했다.

정부는 통일부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북한의 조치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즉각적인 통행 정상화 조치를 촉구했다.

정부는 "북한의 개성공단 출경 차단 조치는 공단의 안정적 운영에 심각한 장애를 조성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개성공단 출입을 정상화시키지 않는 것은 남북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국제사회의 비난과 고립을 초래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한반도 안보상황을 자기들 나름대로 해석하고 이런 상황에서 개성공단 조치를 취하겠다고 (북측이) 말했다. 남북관계와 한반도 상황을 합리화하는 워딩이었다"면서 "북한 당국이 얘기한 내용은 전혀 합당하지 않고 정당한 이유도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국방부는 우리 근로자의 신변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는 경우에 대비해 군사 조치를 마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관진 국방부장관은 이날 새누리당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북핵 안보전략특별위원회' 회의에서 '개성공단 관련해서 최악의 상황으로 가는 것은 막아야 한다"면서 "만약 사태가 생기면 군사조치와 더불어 만반의 대책도 마련돼 있다"고 말했다고 특위 위원장인 원유철 의원이 전했다.

청와대 국가안보실도 현 상황을 주시하며 북한의 의도 등을 분석하는 한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핵심관계자가 전했다.

/정의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