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개성공단 출입경에 대한 승인 통보가 지연돼 근로자들이 출경하지 못하고 있는 3일 개성공단으로 향하던 차량들이 파주시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 게이트에서 출경하지 못하자 관계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하태황기자
3일 북한의 일방적 출경 보류 조치에 개성공단에 진출한 50여개 경인지역 기업들이 비상체제에 들어갔다.

기업들은 이번 조치가 당장 개성공단의 폐쇄로까지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생산활동에 차질을 빚고 체류 인원의 신변 안전도 위협 받을 것을 우려하며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3일 개성공단입주기업협의회측에 따르면 북측의 출경 금지 소식은 3일 오전 8시30분께 전달됐다.

인천 소재 A사 대표는 "출경을 위해 파주 남북출입사무소(CIQ)에 갔다가 발길을 돌렸다"며 "평소와 달리 군인들이 많아 이상하다고 생각했는데 현재 개성공단에 있는 직원과 통화를 하며 상황을 들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입주기업 관계자들은 이날 하루종일 개성공단내 상황 파악을 위해 긴장감속에 동분서주했다.

특히나 이번 출경 금지 조치가 일주일 이상 계속될 경우 원자재, 부품 등의 반입이 불가능해지면서 정상 조업이 불가능해 결국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B기업 대표는 "원자재와 식자재 공급이 가장 큰 문제로 2~3일 내에 조치가 풀린다면 다행이지만 최악의 경우 조업 중단이 불가피하다"며 "일주일 내에 생산한 제품을 남측으로 가지고 오지 못하면 납품일을 맞출 수가 없어 기업 신뢰도에도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기업들은 '상황이 심상치 않다',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등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이면서도 '이번에야말로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강력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개성공단입주기업협의회 관계자는 "북측을 자극할 수 있어 협의회 차원의 공식 발언은 자제하기로 했다"며 "무고한 기업인들의 추가 피해가 없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개성공단에 진출한 기업 123개 중 경기지역 기업은 32개, 인천 기업은 19개로 개성공단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는 400여명에 이른다.

/이성철·박석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