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北 외국공관 철수 권고. 사진은 반제민족민주전선, 우리민족강당 등 북한의 대남선전용 사이트에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얼굴 사진에 저팔계의 모습을 합성한 사진이 내걸리는 등 해킹당한 흔적. 김 제1위원장의 합성 사진에는 '현상수배'(wanted)라는 문구와 함께 현상금이 100만달러라는 문구도 걸렸다. /연합뉴스
북한이 유엔기구와 외국공관 철수 권고를 내부적으로 했지만 이와 관련된 공식적인 언급을 내놓지 않고 있다.
북한 외무성은 지난 5일 평양 주재 외국공관과 북한에 상주사무소를 두고 인도적 지원 활동을 벌이는 유엔 기구들에 이달 10일 이후 신변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며 직원 철수를 위해 필요한 북한의 지원을 알려달라고 외국공관 철수 권고를 통보했다.
북한은 이 같은 외국공관 철수 권고를 러시아와 중국에는 별도로 전했고, 다른 외국 공관과 유엔 기구에는 공동 브리핑을 통해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한 당국이나 매체들은 6일 오전 10시 현재 외국공관 철수 권고와 관련된 내용을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다.
한편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북한이 지난달 26일 내놓은 외무성 성명과 인민군 최고사령부 성명을 지난 1일과 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공식 문건으로 각각 배포했다고 전했다.
북한은 지난달 26일 외무성 성명을 통해 "조선반도(한반도)에 일촉즉발의 핵전쟁 상황이 조성됐다는 것을 유엔 안보리에 공개통고한다"고 밝혔고, 같은 날 최고사령부 성명에서는 전략미사일 부대와 장사정포병 부대를 포함한 모든 야전 포병군을 '1호 전투근무태세'에 진입시킨다고 발표했다.
▲ 北 외국공관 철수 권고. 사진은 5일 경기도 파주시 통일대교에서 임진강을 건너는 차량이 많지 않은 한산한 모습이 보이고 있는 모습. 이날은 북한 민속명절인 청명절로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들이 대부분 출근하지 않아 개성공단 조업도 휴무했다. /연합뉴스
▲ 北 외국공관 철수 권고. 사진은 5일 경기도 파주시 통일대교에서 임진강 너머로 도로작업 차량이 보이고 있는 모습. 이날은 북한 민속명절인 청명절로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들이 대부분 출근하지 않아 개성공단 조업도 휴무했다. /연합뉴스
▲ 北 외국공관 철수 권고. 사진은 5일 경기도 파주시 통일대교에서 육군 병사가 임진강을 건너온 차량을 검문하고 있는 모습. 이날은 북한 민속명절인 청명절로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들이 대부분 출근하지 않아 개성공단 조업도 휴무했다. /연합뉴스
▲ 北 외국공관 철수 권고. 사진은 반제민족민주전선, 우리민족강당 등 북한의 대남선전용 사이트에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얼굴 사진에 저팔계의 모습을 합성한 사진이 내걸리는 등 해킹당한 흔적. 김 제1위원장의 합성 사진에는 '현상수배'(wanted)라는 문구와 함께 현상금이 100만달러라는 문구도 걸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