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만 60세가 되어 국민연금을 일시불로 받은 경우, 반납하고 매월 연금으로 지급받을 수 없나요?
A:만 60세(현재, 53년생 이후부터는 출생연도별로 만 61~ 65세부터 수령) 도달을 사유로 반환일시금을 받은 경우에는 다시 반납할 수 없습니다.
연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보험료 납부기간이 최소 10년 이상이어야 하는데, 연금수급연령이 되어도 그 기간을 못 채워 연금으로 지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일시금으로 드립니다.
하지만 이렇게 일시불로 받는 것은 납부한 보험료를 모두 받고 국민연금과의 관계를 모두 정리하는 것으로, 만 60세가 되어 본인의 청구로 일시금으로 지급받으면 다시 가입할 수 없고 결국 반납도 불가능합니다.
다만, 만 60세가 되어 국민연금 가입자격이 자동 상실되어도 일시금으로 받지 않은 경우에는 만 65세 전까지 재가입(임의계속가입)을 신청하여 가입기간을 늘릴 수 있으며, 최소가입기간(10년)을 채우면 본인의 청구 후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문의: 국번없이 1355
/국민연금공단 경인지역본부 제공
국민연금 Q&A : 일시불로 받은후 月수령으로 변환 여부
본인청구 수령후 반납할 수 없어
입력 2013-07-16 23:43
지면 아이콘
지면
ⓘ
2013-07-17 8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국민연금 Q&A : 지역가입자란 무엇인가요?
2013-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