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빛 아파트와 거미줄 도로 등이 빽빽이 들어선 도시에서 밭을 일구는 '도시농업(urban agriculture)'이 확산되고 있다.
실제 최근 몇 년 사이 전국 도시 텃밭의 면적과 주말 텃밭 참여자 등은 양적 증가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도심 생태계의 회복과 건강한 먹을거리, 지역 공동체 형성 등에 대한 관심으로 앞으로도 늘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정부와 경기도의 지원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관련기사 3면
21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1년7개월만에 도심텃밭 면적과 주말 텃밭 참여자 수 모두 5배 이상 늘었다.
서울 여의도 면적(835㏊)의 절반 가량인 454㏊의 도심텃밭이 새로 생겨난 것이다.
도심 한 편에 자리한 빈 땅부터 다가구주택 옥상, 아파트 베란다, 심지어 재활용 상자까지 다양했다. 도시농업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어느 정도인지 보여준다.
하지만 정부와 경기도, 도내 지자체의 지원책은 이제 겨우 첫 발을 뗀 수준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에야 겨우 제도기반 마련과 도시농업공간 확충 등 5개 전략, 26개 세부추진 과제 등을 담은 '제1차 도시농업육성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전국에서 도시농업 참여자 수가 가장 많은 경기도(14만7천197명·지난해 7월 기준)는 지난 5월 독일의 훔볼트대학과 도시농업 활성화 등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 것 외에는 올해 특별히 눈에 띄는 시책이 없다.
도시농업 육성을 위해 조례를 별도로 제정한 도내 지자체는 성남, 하남, 안산 등 6곳(전체 31개 시군의 19.4%·자치법규정보시스템)에 불과한 실정이다.
도시농업인들은 "도시화로 인해 일어난 부정적 현상들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도시농업으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김민욱기자
[이슈추적]턱없이 부족한 도시농업 지원책
도시농업 점차 확산되는데
정부·道 지원 '걸음마 수준'
입력 2013-07-21 23:07
지면 아이콘
지면
ⓘ
2013-07-22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이슈추적]'떠오르는 도시농업' 살펴보니…생명체 교감·이웃과 소통 '인기몰이'
2013-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