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우중 전 회장 귀국.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최근의 미납 추징금 논란과 관련해 직접 대응을 선언하고 전격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회장은 16일 오전 아시아나항공 OZ 734편으로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했다고 주변 소식통들이 밝혔다. 사진은 지난 3월 22일 서울 종로구 부암동 AW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우그룹 창립 46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김우중 전 회장. /연합뉴스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16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전격 귀국했다.
 
최근 노태우·전두환 전 대통령의 추징금 환수 이후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의 미납 추징금에 대한 귀추가 주목되는 가운데 이와 관련, 귀국한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어떤 입장을 밝힐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베트남 소식통들은 김우중 전 회장이 대우그룹 미납 추징금 문제에 직접 대응하기 위해 한국행을 결심했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의하면 김우중 전 회장은 귀국해 있는 동안 전직 임원들 및 변호사들과 협의, 약 23조원에 달하는 추징금과 장남·3남이 대주주와 소유주로 알려진 국내외 골프장 등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이는 최근 정부가 공무원 외에 일반인에 대해서도 추징금을 집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김우중법'을 입법 예고한 것을 계기로 가열되고 있는 추징금 논란에 대해 김 전 회장이 직접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회장은 2006년 대우그룹 분식회계를 주도한 혐의로 징역 8년6월과 벌금 1천만원, 추징금 17조9천253억원을 선고받고 복역하다 2008년 1월 특별사면 됐다. 추징금은 대부분 미납됐으며 연대 책임이 있는 대우 관계자 7명에 대한 것까지 합치면 23조원을 넘는다.
 
지난 6월 공무원의 불법취득 재산에 대한 추징 시효를 늘리고 제3자에게도 추징할 수 있게 하는 '전두환 추징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본격화된 전 전 대통령의 추징금 환수는 석 달 만에 전 전 대통령 측이 자진납부 의사를 밝히면서 일단락됐다.
 
이런 가운데 법무부는 지난달 공무원 외에 민간인에 대한 미납 추징금도 강제로 환수할 수 있도록 관련 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검찰은 김 전 회장을 비롯한 고액 미납자에 대한 환수 절차에 착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김 전 회장의 한 측근 인사는 "김 전 회장이 추석을 쇠러 온 걸로 안다"며 추징금 문제에 대한 대응 여부에 대해 "정부에서 추진하는 일인데 대응할 입장도 아니고 여력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현재 베트남에 머물고 있는 김 전 회장은 최근 건강검진을 받고 지인들을 만나고자 부정기적으로 한국을 찾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