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옹진군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이 10년 사이 2만5천%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설논란이 일고 있는 영흥화력발전 7·8호기가 가동될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은 훨씬 증가할 전망이어서 정부차원의 온실가스 감축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1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홍영표 의원(민주당)이 한국환경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2012년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 옹진군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00년 9만164tCO2에서 2010년 2천288만8천tCO2으로 2만5천315%(253배) 증가했다.
2000년은 영흥화력발전 가동 전이고, 2010년은 영흥화력이 5·6호기까지 늘어난 이후다.
옹진군의 온실가스 배출 순위는 영흥화력 가동 직전인 2003년 조사대상 58개 지자체 중 52위였지만 영흥화력 가동 직후인 2004년에는 11위(연간 386만4천tCO2)로 순위가 급격히 상승했다.
2010년엔 4위까지 순위가 뛰어올랐다. 옹진군보다 순위가 높은 곳은 전남 광양, 여수, 울산 남구 등 산업도시뿐이다.
옹진군의 인구는 서울의 600분의 1에 불과한 반면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서울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기준 서울과 옹진군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각각 3천930만tCO2, 1천536만1천tCO2이다.
옹진군이 이같이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것은 영흥화력발전 때문이다. 영흥화력발전은 수도권 전체 전기 사용량의 30%를 공급하고 있다.
증설이 계획된 영흥화전 7·8호기(각각 870㎿ 규모)가 가동될 경우 지금보다 연간 1천만tCO2의 온실가스가 추가로 배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홍 의원은 "지자체가 자체적인 온실가스 감축 계획은 갖고 있지만, 발전소 등 산업체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에 대한 관리 권한은 없기 때문에 이 같은 일이 벌어진 것"이라며 "환경부는 온실가스 감축 기술지원을 강화하는 등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남동발전 영흥화력 관계자는 "원전사태 때문에 수도권 전기공급량이 부족해져 7·8호기 증설은 불가피하다"며 "정부와 공동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을 정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시설을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영흥화전 가동 이후 옹진 '온실가스 배출량' 2만5천%이상 치솟아
10년새 9만tCO2 → 2288만tCO2
지자체 年배출순위 52위 → 4위
7·8호기 증설땐 감축대책 절실
입력 2013-10-14 23:3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3-10-15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