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국내 일부 언론의 잇단 보도로 논란이 확산 조짐을 보이는 '장성택 측근의 중국 망명설'과 관련, 정부가 19일 강한 어조로 망명설을 일축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19일 "국내 언론의 '북한 간부 중국 망명설'과 관련해 사실이 아님을 다시 한 번 분명히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 내용은 외교안보정책조정회의에서 관련 부처가 종합적으로 판단해 발표하는 것"이라고 언급, 자신의 발표 내용이 정부 차원에서 나온 입장임을 밝혔다.
정부는 이날 오후 5시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윤병세 외교부 장관, 류길재 통일부 장관, 김관진 국방장관, 남재준 국정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청와대에서 외교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연 뒤 이 같은 입장을 발표했다.
정부의 이런 태도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안다"라는 취지의 기존 대응보다 부인 강도를 더욱 높인 것이다.
정부 당국자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안다고 아무리 정부가 얘기해도 믿질 않는 이들이 있어 이번에는 진짜 아니라는 취지에서 이처럼 대응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국내 일부 언론은 저마다 '정통한 대북 소식통'들을 인용해 장성택의 측근이 9월 말∼10월 초 핵개발 관련 극비정보, 김정은의 비자금 정보를 들고 중국으로 탈출해 한국 등으로 망명 의사를 타진하고 있다고 전해 왔다.
또 중국으로 도주한 장성택 측근이 70여명에 달한다는 보도도 나왔고, 중국 내 우리 공관에서 망명한 인사에 대한 합동신문이 진행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앞서 외교부도 이날 장성택 측근 망명설을 거듭 부인했다.
조태영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새롭게 제기된 장 부위원장 측근 등 70여명의 중국 탈출설에 대해 "아는 바 없다"고 밝혔다.
조 대변인은 외교부가 망명설을 '애매하게' 부인한다는 지적에 대해 "외교부는 (망명설 보도가) 사실이 아닌 것으로 알기에 사실이 아니라고 답한 것이지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며 "(비유하자면) 아버지를 아버지로 한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다"고 반박했다.
조 대변인은 장성택 숙청으로 인한 탈북자 증가 가능성에 대해서는 "정부는 외교부를 포함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19일 "국내 언론의 '북한 간부 중국 망명설'과 관련해 사실이 아님을 다시 한 번 분명히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 내용은 외교안보정책조정회의에서 관련 부처가 종합적으로 판단해 발표하는 것"이라고 언급, 자신의 발표 내용이 정부 차원에서 나온 입장임을 밝혔다.
정부는 이날 오후 5시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윤병세 외교부 장관, 류길재 통일부 장관, 김관진 국방장관, 남재준 국정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청와대에서 외교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연 뒤 이 같은 입장을 발표했다.
정부의 이런 태도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안다"라는 취지의 기존 대응보다 부인 강도를 더욱 높인 것이다.
정부 당국자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안다고 아무리 정부가 얘기해도 믿질 않는 이들이 있어 이번에는 진짜 아니라는 취지에서 이처럼 대응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국내 일부 언론은 저마다 '정통한 대북 소식통'들을 인용해 장성택의 측근이 9월 말∼10월 초 핵개발 관련 극비정보, 김정은의 비자금 정보를 들고 중국으로 탈출해 한국 등으로 망명 의사를 타진하고 있다고 전해 왔다.
또 중국으로 도주한 장성택 측근이 70여명에 달한다는 보도도 나왔고, 중국 내 우리 공관에서 망명한 인사에 대한 합동신문이 진행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앞서 외교부도 이날 장성택 측근 망명설을 거듭 부인했다.
조태영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새롭게 제기된 장 부위원장 측근 등 70여명의 중국 탈출설에 대해 "아는 바 없다"고 밝혔다.
조 대변인은 외교부가 망명설을 '애매하게' 부인한다는 지적에 대해 "외교부는 (망명설 보도가) 사실이 아닌 것으로 알기에 사실이 아니라고 답한 것이지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며 "(비유하자면) 아버지를 아버지로 한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다"고 반박했다.
조 대변인은 장성택 숙청으로 인한 탈북자 증가 가능성에 대해서는 "정부는 외교부를 포함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