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썰매미는 힘·가속도 기록 영향
몸무게 늘려 선수경쟁력 강화
84㎏였던 체중 이젠100㎏넘어
2013 아메리칸컵 금메달 쾌거
뛰어난 집중력 '우승' 원동력
이번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한국의 '깜짝 금메달'로 손꼽히는 종목은 봅슬레이다.
봅슬레이는 얼음으로 덮인 트랙 위를 육중한 썰매가 질주하는 장면을 보며 마치 자동차 경주를 즐기는 듯한 속도감을 느낄 수 있는 종목이다.
스켈레톤, 루지와 함께 3대 썰매 종목 중 하나인 봅슬레이(Bobsleigh or Bobsled)는 선수들의 몸이 앞뒤로 끄떡거리는 모습(Bob)과 썰매(sled)가 합쳐진 이름이다.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엎드리거나 눕지 않고 여러 명의 선수가 앉은 채로 자동차를 몰듯 썰매를 조종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봅슬레이에서 한국 선수 최초로 메달을 노리는 주인공이 있다. 한국 봅슬레이 대표팀의 파일럿 원윤종(29·경기도봅슬레이스켈레톤경기연맹)이다.
원윤종은 늦깎이 선수다. 대부분의 선수가 초·중학생 시절부터 운동을 시작해 꾸준히 실력을 닦는 것에 비해 원윤종은 4년 전부터 운동을 시작했다.
성결대 체육교육학과에 진학한 원윤종은 호기심 반으로 도전한 2010년 봅슬레이 국가대표 공개선발전에서 특유의 근성과 집중력을 인정받아 태극마크를 달았다.
이후 원윤종은 한국 봅슬레이의 새 역사를 써내려갔다. 원윤종에게 조종간을 맡긴 대표팀은 첫 시즌 주니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13위에 올라 '홀로서기'에 성공한 뒤, 다음 시즌인 2011년 말 아메리카컵에선 은메달 2개를 목에 걸어 과거 한 차례밖에 2위에 오르지 못했던 선배들의 업적을 뛰어넘었다.
잠시 유럽 등에서 다양한 트랙을 돌며 경험을 쌓은 원윤종은 마침내 2013년 3월, 아메리카컵에서 봅슬레이 역사상 처음으로 금메달을 목에 거는 쾌거를 이뤘다.

대표팀에 선발되던 당시만 해도 84㎏밖에 나가지 않았지만, 하루에 밥을 15공기씩 먹을 정도로 치열하게 체격을 불려 이제는 100㎏이 넘는 선수가 됐다.
썰매를 미는 힘과 가속도가 중요한 봅슬레이에선 선수의 몸무게가 곧 경쟁력이다. 물론, 근력과 순발력을 유지하기 위한 강도 높은 훈련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원윤종은 2배의 고통을 이겨냈다.
그는 웨이트트레이닝을 병행하며 체력을 키웠고 평창에서 스타트 대회를 열면 힘 좋은 동료 푸시맨·브레이크맨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할 만큼 힘도 탁월했다.
파일럿에게 필요한 집중력도 갖췄다. 트랙 밖에서 늘 조용히 이어폰을 꽂고 허공을 바라보는 원윤종의 머릿속에는 눈앞의 트랙을 어떻게 공략할 것인지, 코너별로 끊임없는 이미지트레이닝이 이어진다.
코스에 맞는 공략법을 찾아내기 전까지는 잠도 제대로 이루지 못한다는 것이 주변 관계자의 설명이다. 봅슬레이 대표팀은 소치올림픽에서 사상 처음으로 남자 4인승, 남자 2인승, 여자 2인승 등 전 종목에 선수를 출전시킨다.
원윤종은 "원래 내게 올림픽은 그저 TV로만 보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직접 대회에 출전하게 됐다"며 "좋은 성적을 올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신창윤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