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 색깔·문구 시비 많아
유권자·정치인 인식도 '문제'

내년 성년(成年) 지방자치 시대를 이끌 일꾼을 선출하는 이번 지방선거는 여느 선거보다 의미가 크다.
예비주자들은 벌써부터 적임자임을 강조하며 자신만의 방식으로 얼굴 알리기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선거열기가 점점 끓어오르면서 여전히 공직선거법 등 관련 법을 비웃는 위법 행위들이 고개를 들고 있다.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는 이에 맞춰 '소중한 권리' '공정한 관리'가 지켜질 수 있도록 선거근무 체제에 들어갔다.
경인일보는 '깨'끗한 선거, '소'중한 한 표, '금'품없는 정치가 정착될 수 있도록 '깨소금' 캠페인을 시작한다. ┃편집자 주
우리나라 지방자치제도는 지난 1961년 5·16군사쿠데타로 중지된지 30년만인 1991년 부활했다. 1회 지방선거는 또 한 번의 진통을 겪은 후 마침내 1995년 6월 27일 치러졌다.
당시 노태우 정부가 한해 4개의 선거를 치르면 경제적·사회적 안정을 이룰 수 없다며 연기시켰기 때문인데 야당은 14대 대선을 임명된 자치단체장으로 치르려는 꼼수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부활한 지방자치제도의 핵심인 지방선거를 대하는 정치인과 유권자의 인식이 낮았다. 중앙선관위가 제작한 공명선거 포스터의 '색'에도 시비가 따를 정도로 선거국면에 접어들면서 워낙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실제 포스터에 하늘이 많이 들어가자 당시 파란색을 당색으로 사용한 한나라당을 은연중 지지한다며 이의가 제기된 적도 있다.
2000년대 초에는 깨끗하고 투명한 선거를 만들자는 의미에서 포스터에 물방울을 그려 넣었는데, 동그라미가 하나만 들어가 야당측의 반발이 제기, 전량을 회수하는 일도 있었다. 물방울이 기호 1번 즉 여당을 상징하는 것 아니냐는 시비였다.
앞서 1999년 3월 30일에 실시된 안양시장 재보선에서는 '기표용지에 한 번만 찍으세요'라는 투표 안내문이 '1번' 투표를 종용한다면서 야당측의 반발이 일기도 했다.
5번의 지방선거가 치러지면서도 위법 행위는 끊이지 않았다. 지난 2010년 5회 지방선거 기간중 경기도선관위에 적발된 건수만 512건이나 된다.
/김민욱·강기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