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트윈타워에서 홍보도우미들이 'LG G3'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쿼드 HD(2560*1440) IPS디스플레이를 탑재한 'G3'는 538ppi 초고해상도로 HD의 4배, 풀HD의 2배에 이르는 해상도를 구현한다. /연합뉴스
'화질의 LG'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던 LG전자가 다시 화질을 앞세워 스마트폰 경쟁 선도에 나섰다.

LG전자가 28일 공개한 새 전략 스마트폰 G3는 세계 시장에 출시되는 제품으로는 처음으로 QHD 화면을 장착했다.

QHD는 해상도가 2560×1440인 화면을 뜻하는 것으로 HD(1280×720)와 견줬을 때 화소 수가 4배다. QHD라는 이름은 HD(고화질)에 '4'를 뜻하는 쿼드(Quad)를 붙여 만든 것이다.

지금까지 중국 업체가 자국 내수용 제품으로 QHD 제품을 생산한 적은 있지만 세계 시장에 공식적으로 출시되는 QHD 스마트폰은 G3가 처음이다.

LG전자는 이 제품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시장에서 예년과 다른, 높은 성장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계 첫 QHD 스마트폰으로 '화질의 LG'를 시장에 각인시키고, 삼성전자의 갤럭시S5보다 높은 사양을 채택해 최고급 스마트폰 판매를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 LG전자는 27일(현지시간) 런던 도심 배터시 에볼루션 국제전시장에서 언론사와 업계 관계자 등 1천명이 모인 가운데 글로벌 발매 행사를 열고 올해의 전략 스마트폰 G3를 발표했다. G3는 초고화질 5.5인치 쿼드HD 디스플레이와 초고속 자동 초점기능, 금속 느낌의 케이스를 사용한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주요 기능으로 내세웠다. G3 글로벌 공개행사는 이날 런던을 시작으로 24시간 동안 뉴욕과 샌프란시스코, 서울, 싱가포르, 이스탄불 등 세계 주요 도시를 거치는 일정으로 마련됐다. /런던=연합뉴스
G3를 예년보다 3∼4개월 일찍 출시한 것도 삼성전자와 정면 승부를 벌이려는 의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LG전자는 이날 제품 시연장에 제품명과 브랜드를 가린 갤럭시S5를 G3와 나란히 전시해 화질을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

LG전자는 이 제품을 통해 세계 스마트폰 매출액 점유율 3위를 굳히고 브랜드 파워 강화에 따른 판매량 증대도 꾀하는 모양새다.

평소 신제품 출시때 판매목표에 대해 함구했던 LG전자 MC(모바일커뮤니케이션)사업본부장 박종석 사장이 이날 간담회에서 이례적으로 "판매량 1천만 대 이상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고 구체적인 판매목표를 밝힌 것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분석된다.

제품 출고가를 89만9천800원으로 갤럭시S5보다 소폭 올려 잡은 것 역시 고급화 브랜드 전략의 취지인 것으로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박 사장이 2분기 스마트폰 시장 성적표에 대해 낙관하고 있는 것도 이처럼 G3의 제품 경쟁력에 대한 자신감에서 나온 것이다. G3를 국내 시장부터 출시하기로 결정한 것도 이 때문이다.

여기에 자사 스마트폰 매출의 15% 안팎을 차지하는 국내 시장이 이동통신사 영업정지 등이 있었던 1분기보다 2분기에 더 활성화할 것으로 보인다는 점과, 1분기에 출시했던 보급형 제품이 2분기에 본격적으로 역할을 해줄 것이라는 믿음 등도 이와 같은 분석의 근거가 됐다.

신한금융투자 등 증권업계도 LG전자의 휴대전화 사업부 영업이익이 2분기에 반등할 것이라는 예상 보고서를 내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