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싼 월세 매년 오르기까지
계약포기땐 1천만원대 위약금
조기분양 요구엔 '묵묵부답'
10년 민간 공공임대아파트에 사는 임차인들은 높은 임대료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통로가 '조기분양 전환'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임차인들은 5년 이상 거주하면 조기분양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된다.
그러나 조기분양 전환 여부를 사실상 건설사가 전권을 쥐고 결정하는 만큼, 임차인들은 '처분'만 기다리다가 임대료 인상을 감당치 못하게 되는 등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3면
2일 판교 민간공공임대 임차인 연합회에 따르면 산운마을 8단지 부영아파트의 경우 전체 371세대 중 37세대 이상이 임대료를 1년 이상 연체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차인들은 돈이 생기는 대로 밀린 임대료를 갚아나가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해마다 5%가량 오르는 임대료와 임대보증금 증가분을 감당하기 벅찬 실정이다. 버티다 못해 임차권을 포기하고 싶어도 이미 투자한 비용이 크다 보니 이마저도 선뜻 결정하기 쉽지 않다.
이 아파트 81㎡에 보증금 1억4천400만원, 월 임대료 92만4천원을 내며 살고 있는 임차인 임모(67)씨는 매달 내야 할 임대료에서 10만~20만원씩 밀리다 결국 5년간 2천340만원가량이 연체됐다.
임씨는 "임대료 인상 시마다 임대차계약을 새로 해야 하는데 마치 도살장에 끌려가는 기분"이라며 "조기분양을 요구하고 있는데 건설사는 묵묵부답"이라고 하소연했다.
판교 6단지에 사는 최모(52·여)씨는 현재 보증금 2억7천967만원에 월 임대료 72만5천원을 내고 살고 있다.
최씨는 "5년 전 입주할 때 아파트 값이 폭락해서 주변 분양아파트 전세가 1억6천만원이었는데 보증금을 2억3천755만원 내야 했다"며 "감당할 자신이 없어 결국 건설사에 계약포기 의사를 밝혔지만 오히려 건설사는 위약금 1천600만원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최씨는 "지금까지 낸 임대료와 은행에서 대출받은 보증금 이자만 수천만원이 들어갔다"며 "이제 와서 임차권을 포기할 수도 없고 분양을 받으려니 건설사의 결정만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라 답답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권순정·김성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