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낙동강·금강·영산강 등 4대강 사업지에서 발견돼 논란을 빚고 있는 '큰빗이끼벌레'가 여주 남한강에서도 발견됐다.

큰빗이끼벌레는 작은 개체들이 모여 덩어리를 이루는 태형동물의 일종으로, 대부분 호수처럼 고인 물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4대강 사업으로 인한 호수화와 수질 악화 논란이 남한강에서도 불거질 전망이다.

여주환경운동연합과 4대강 조사단, 새정치민주연합 4대강불법비리진상조사위원회 등은 10일 여주시 금사면 남한강 이포보 일대에 대한 조사를 통해 강바닥에 큰빗이끼벌레가 서식하는 것을 확인했다.

남한강에서 발견된 큰빗이끼벌레는 10~20㎝ 크기 내외로 낙동강이나 금강 등에서 발견된 것보다는 크기가 작았으며 상대적으로 유속이 느린 곳의 강바닥 돌에 부착돼 서식하고 있다.

여주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수질이 좋지 않은 쪽에서 크기가 큰 개체가 나왔고 수질이 좋은 쪽에서는 크기도 작고 개체수도 적었다"고 설명했다.

조사에 참여한 새정치민주연합 이미경 의원은 "큰빗이끼벌레가 남한강에서 발견된 것은 매우 충격적인 일로 4대강 사업 이후 수질이 더욱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수질개선을 위해서라도 수문개방을 포함한 4대강 사업 전반에 대해 논의할 때가 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인근 어민들은 4대강 사업 이전에도 남한강에서 큰빗이끼벌레가 종종 발견됐다고 밝혀 큰빗이끼벌레의 발견이 4대강 사업으로 인한 수질악화의 확실한 증거가 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남한강 일대에서 물고기를 잡은 한 어민은 "최근 큰빗이끼벌레가 그물에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기는 했지만 요즘처럼 가물 때는 종종 발견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한편 조사단은 이날 여주보 선착장 일대에서 넓은 폭으로 뻘층이 형성돼 있는 것도 확인했으며, 남한강의 지천인 금당천 일대의 역행침식 피해 실태에 대한 조사도 벌였다.

여주/박상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