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의원직을 상실한 성남 중원 김미희 의원을 비롯해 김재연(비례)·오병윤(광주 서구을)·이상규(서울 관악을)·이석기(비례) 등 5명은 이르면 23일 대한민국을 상대로 서울행정법원에 '헌재 결정에 대한 효력정지'를 신청하고 '국회의원 지위 확인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
해산 정당 소속 국회의원의 의원직 상실에 관해 명시적 규정이 없다는 이유에서인데 소송이 본격화될수록 해산 결정을 둘러싼 찬반 여론은 첨예하게 대립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내 유일의 통진당 소속 지역구 기초의원인 파주시의회 안소희 의원의 경우 국회의원과 달리 의원직을 유지해 논란이다.
통진당 비례의원에 대해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2일 전체위원회의를 열어 의원직 상실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나 지역구 의원은 헌법재판소의 결정문에서 언급이 없었다.

온라인은 여전히 찬반 양론으로 들끓는 등 정당 해산의 여파가 지속되고 있다.
지난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으로부터 '후보 사퇴를 위장한 사실상의 야권연대'라는 비난을 받았던 이재명 성남시장은 지난 19일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앞으로 12월19일은 헌정사에서 민주적 기본질서에 관한 헌법적 결단과 파괴가 벌어진 날로 기록되고 영원히 기억될 것"이라고 반대했다.
반면,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는 "통진당 해산 결정을 환영합니다. 박한철 헌재소장과 재판관에게 기립박수를 보냅니다"고 찬성했다. 경기도는 통진당 비밀조직 RO의 본거지였다.
한편, 헌재는 통진당 해산 결정문을 세계 헌법재판기관의 회의체인 베니스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김민욱·강기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