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는 비 의미는 무엇일까.

어는 비 의미는 빗방울이 지표면 또는 비행 중의 항공기 등에 얼어붙는 비를 말한다.

착빙성 비라고도 부르는 어는 비(freezing rain, 凍雨)는 비가 물체에 닿는 즉시 유리면과 같이 코팅된 것처럼 얼어붙는다.

어는 비의 특징은 균질하고 매끈하며 투명한 얼음 층을 형성한다는 점이다.

어는 비가 내리기 위해서는 지표나 물체표면의 온도가 반드시 영하 이하이어야 한다.

어는 비가 잘 생기는 곳은 대기 중으로 돌출되어 있는 나뭇가지나 신호등이다. 이것들은 열손실이 지표면보다 크기 때문이다. 

어는 비가 잘 발생하는 지역은 지표면에 냉각이 쉽게 일어나는 곳이다.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형 지역이나 교량 등이 이에 해당한다.

대기 중의 기온이 0℃ 이상일 경우라도 빗방울이 과냉각수적인 경우에는 어는 비가 만들어진다. 

비행 중인 항공기가 과냉각 수적층을 통과할 때 생기는 맑은 착빙(clear icing)이 좋은 예이다. 

어는 비는 지상 온난전선의 북쪽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북반구에서는 저기압 동쪽이다.

온난전선은 대기구조가 지상이 차고 상공이 따뜻하므로 안정된 상태다. 

따라서 쉽게 상공의 온난공기와 한랭공기가 섞이기 힘든 역학적 구조를 보인다. 온난전선의 북쪽 강수지역이 가장 기온이 내려가고 안정화될 때가 이른 아침이다. 이때 전선이 통과한다면, 어는 비가 발생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어는 비가 내릴 때는 보행자들의 낙상과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어는 비는 비가 내리는 순간 아스팔트 위에 그대로 얼어버린다. 아스팔트 위에 언 얼음은 마치 코팅한 것처럼 뒤덮는다. 

따라서 운전자의 눈에는 얼음이 없는 상태(검은색)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을 블랙아이스(Black ice)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