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본 기사
-
이영필 경기남부청 계장 “‘윤석열 사망’ 가짜 메시지, 제가 보낸게 아닙니다” [미공개 수첩]
2024-12-21
-
“빈 좌석 느는데 운행 부담만 커져” 동력 잃은 고속버스 업계
2025-03-21
-
“정해진 길 다니면 노선버스” 브레이크 걸린 전세버스 꼼수
2025-03-18
-
등록금 인상도 억울한데, 국가장학금도 못 받을판
2025-02-13
-
용인 아파트서 5명 숨진 채 발견… 피의자 가족이 신고
2025-04-15
최신기사
-
"복지 없이 면허만 강화… 다 반납하면 회사도 망해" [老 NO 면허? part1] 지면기사
Part-1 노인도 면허 없이 살고 싶다 (中) 생계 위해 잡는 운전대 고령 운수업자 비율, 가파른 상승정부 '적격검사 기준 상향' 하소연"노후 준비 안돼… 떨어지면 막막""정년 재고용해 버텨" 업체도 난감 "이러다가 마을버스 회사 다 망하는 거 아닌지 모르겠어요…."수도권의 한 마을버스 운전기사 김모(71)씨는 본인의 생계 유지는 물론 자신이 소속된 운수업체마저 운영난을 겪게 될까 걱정이다. 정부가 고령운전자 조기 면허 반납에 속도를 내며 운수업 종사자들의 '운전자격 유지 기준 강화' 정책까지 펴고 있는데, 김씨 소속 업체 운전기사 중 70% 이상이 65세를 넘긴 고령운전자이기 때문이다. 김씨는 "우리회사 운전기사 25명 중 최소 18명이 고령자"라며 "마을버스는 특히 젊은 운전기사 비중이 낮은 직종이라 업계에선 고령운전자가 면허를 다 반납하면 회사가 망할 수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온다"고 말했다.의정부에서 30년째 화물차를 운행하는 이형우(60)씨도 최근 65세 이상 운수 종사자의 운전자격 유지 검사 기준이 강화된다는 소식을 듣고 향후 생계 유지 걱정에 벌써부터 눈앞이 캄캄하다. 이씨는 "5년 뒤 운전자격 유지 시험에서 떨어지면 생계를 이어갈 방법이 없다"며 "개인사업자라 퇴직금도 없는데, 최소한의 복지 정책 없이 자격 기준만 강화하는 건 노후 준비 여유가 없는 운수 종사자를 다 죽이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고령화로 인해 65세 이상 운수 종사자 비율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마땅한 대책 없이 운전자격 유지 기준만 강화하고 있다는 고령 운수 종사자들과 관련 업계의 하소연이 이어지고 있다.5일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전체 운수 종사자 81만여 명 중 21만1천여명(24.8%)이 65세 이상 고령자였다. 지난 2019년 17.3%에서 5년만에 눈에 띄게 늘어난 수치다. 경기도의 경우도 전체 운수 종사자 21만4천여 명 중 4만3천여명(20.3%)이 고령자다. → 그래프 참조정부는 잇따르는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
30kg 나무합판 20장에 깔린 화성 싱크대 업체 작업자 숨져
화성시의 한 싱크대 제조업체에서 20대 작업자가 나무합판 더미에 깔려 숨졌다. 5일 화성서부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20분께 화성 남양읍 북양리 한 싱크대 제조업체에서 라오스 국적 20대 A씨가 나무 합판 더미에 깔리는 사고가 났다. 사고 당시 다른 동료가 합판 더미 세워진 합판을 골라 꺼내는 작업을 하던 중이었는데 갑자기 장당 30㎏가량 나무합판 20장이 무너져 내리면서 작업을 보조하던 A씨를 덮친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현장에 출동한 구급대원들에 의해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결국 숨졌다. 경찰은 현장 관계자들의 안전수칙 준수 여부 등 자세한 사고 경위를 조사할 예정이다. /마주영기자 mang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