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양국 자치단체 교류 사업에 인천시가 참여한다.

외교부는 한국과 러시아 정상이 창설키로 합의한 '한·러 지방협력포럼'에 인천을 포함한 전국 8개 자치단체가 참여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한·러 지방협력포럼은 러시아 연해주, 사할린주, 하바롭스크주, 캄차카주, 추코트 자치구 등 극동지역에 있는 9개 자치주와 우리나라 자치단체가 각종 교류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협의체 성격의 모임이다.

한국과 러시아는 내년 지방협력포럼을 창설해 운영한다는 방침으로 1차 회의는 2018년 우리나라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한·러 지방협력포럼은 앞으로 ▲무역박람회와 투자설명회를 포함한 경제 협력 ▲교통·관광 ▲문화·예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자치단체가 교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심점 역할을 하게 된다.

인천시의 경우 의료관광사업에 중점을 둬 러시아 극동지역 자치주와 교류사업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끼고 있는 인천시는 2010년부터 의료관광사업을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1천242명의 러시아 사람들이 인천지역 의료기관을 방문했고 2015년에는 1천580명, 2014년에도 1천410명의 러시아인이 의료관광을 목적으로 인천을 방문했다.

이밖에 시는 한·러 지방협력포럼이 창설되면 러시아와의 다양한 문화 교류사업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2010년 러시아 국민들이 '민족의 자존심'으로 여기는 바랴크호 깃발을 러시아 측에 대여해 주면서 각종 문화교류사업을 진행해 왔지만 지금은 대부분 중단된 상태다. 바랴크호는 1904년 러·일 전쟁 당시 인천 앞바다에서 일본 해군과 싸우다 자폭한 러시아 군함이다.

깃발 대여를 계기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3년 인천을 찾기도 했다.

이번 정상회담으로 인천시뿐만 아니라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극지연구소도 러시아와의 교류를 확대하게 된다.

정상회담 후속 조치로 오는 11월 서울에서 열릴 예정인 '제1차 한·러 북극협의회'에서는 ▲북극항로 개척 ▲과학협력 ▲북극지역 개발 ▲에너지 협력사업이 집중 논의될 예정인 가운데 극지연구소가 이들 분야에서 직접적인 실무 주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외교부 관계자는 "한·러 지방협력 포럼이 발족하면 인천을 포함한 양국 자치단체들이 신규 협력사업을 함께 발굴하고 각종 경제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등 서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