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분야 전임교원들과 운영
연관기업체 전문가들 실무 전달
연간 10억원이상 과감하게 투자
'산학협력' 취업 등 시너지 효과
평택대학교(총장·김문기)가 인공지능과 자율주행 등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해 우수한 전문 교원과 연간 10억원 이상의 과감한 교육투자 등을 통해 코로나19 등으로 학교가 직면한 위기 파고를 뛰어넘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평택대 사회맞춤형 융복합과정이 교육부의 링크플러스(LINK+) 사업 재정지원을 받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착실하게 준비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융복합전공에 개설된 교육 과정으로는 산업IoT와 스마트재활케어, 스마트반도체시스템, 스마트물류 전공이 있다.
평택대의 융복합전공의 특징은 우선, 다양한 분야의 교수인력을 손꼽는다.
정규학과에 소속된 전임교원들과 연관된 산업체 인사들이 함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산업IoT 전공의 딥러닝프로그래밍이란 과목은 평택대 스마트자동차학과의 교수가, 빅데이트DB실습 과목은 역시 같은 대학의 데이터정보학과 교수가, IoT회로기초 과목은 드론 제조업체의 인사가 각각 담당해 책임지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동일한 학과내에서 다양한 교과목과 담당 교수들 간 강의와 현장실습 등 살아있는 교육을 위한 협업이 조화롭게 운영되고 있다.
참여하는 전임교원들은 소속 학과도 달라 각기 다른 전공의 교수들의 전문적인 지식이 전수되기 쉽고, 심지어 연관 기업체 소속의 전문가들은 기업체의 살아있는 현장 실무적인 내용을 전달하고 있어 장점이 많다.
링크플러스 사업을 통한 재원 확보 부분도 장점이 분명하다.
평택대는 사회적 수요가 있는 첨단 기술 분야에 발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연간 10억원 이상 과감하게 투자하고 있다. 요즘 대학을 둘러싼 환경과 조건은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어 이런 투자는 쉬운 일이 아니다. 갈수록 줄어드는 학생자원과 구조조정을 통한 대학정원 감축에 직면한 대학에서 과감한 투자는 생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평택대는 특히 링크플러스 사업을 통해 연관 기업체와의 산학협력 관계를 구축, 취업난 해결 등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각 융복합 전공별로 10여개의 기업체들이 협정을 맺어 업체별로 매년 2~3명씩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학기 중에는 현장실습 및 인턴십을 통해 실무를 경험해 보기도 한다.
스마트자동차를 전공하는 안다영(23)양은 "자동차 분야의 자율주행과 관련된 내용, 빅데이터 분야의 데이터 마이닝 내용, 드론 자세 제어와 관련된 실무 위주로 배우기 때문에 깊이 있고 다양한 학습을 할 수 있어 유익하다"고 긍정 평가했다.
평택대 링크사업단 고광호 부단장은 "학교의 전폭적인 지지와 교육부의 링크플러스 사업의 재정지원으로 자율주행플랫폼과 5축로봇, 인간행동분석시스템 등 고가의 실습기자재와 현장실무 교육을 위한 산업체 인사 초빙 등으로 전문인력 확보가 가능했다"며 "평택 등 수도권 소재 기업들의 4차 산업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융복합 전공으로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