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1 지방선거 전 마지막 주말을 맞은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후보는 수원-시흥-김포-고양으로 이어지는 숨 가쁜 일정을 소화하면서 지난 13년 동안 진보 교육의 맹점을 지적하는 등 총력전에 나섰다.
임 후보는 경기도 진보 교육의 상징인 꿈의 학교, 꿈의 대학을 비롯해 돌봄교실, 교권 추락 등 여러 주제에 대해 공세를 펼쳤다. 그러면서도 "성기선 경기도교육감 후보의 네거티브가 도를 넘어 섰다"고 대응에 나섰다.
임 후보 선대위는 지난 27일 논평을 통해 "성기선 후보는 상대 후보 비방할 시간에 학생들을 위한 교육정책 발굴에나 신경 좀 쓰라"며 "지금껏 언론 보도된 내용을 보면 공약보다는 상대 후보 비방하는 글이 더 눈에 띌 정도다. 수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지켜보는 선거인데, 부끄럽지도 않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7일~29일까지 돌봄교실 부족·꿈의 학교 부실화, 교권 추락, 학교 폭력, 교육 현장의 이념화 문제를 연달아 지적했다. 임 후보는 "학부모는 초등돌봄교실을 선호하지만 학교돌봄을 이용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렇다고 지자체와 돌봄 문제를 풀어보려는 노력도, 학교의 돌봄업무 지원 방안 마련도 하지 않고 사실상 방치했다"고 분석했다.

2020년 방과후돌봄 범정부 수요조사(경기도)에 따르면 초등돌봄교실 이용학생은 6만8천명(19.5%)에 불과하다는 자료를 제시했다. 또 "교육감 공약사업인 꿈의학교와 혁신학교는 매년 수백 개씩 늘었으나 초등돌봄교실 추첨에 떨어져 대기자 명단에 오른 아이들은 학원을 전전하고 있다. 교육감 공약사업이 아이들 돌봄보다 더 중요한 것이냐"라고 꼬집었다. 지난 2021년 51개로 시작한 꿈의 학교는 지난해 2천29개로 대폭 늘었으나 매년 예산 심의에서 도의회의 삭감 논란이 일 정도로 부실했다는 것이다.
임 후보는 "2014년 이재정 교육감은 당선과 동시에 상벌점제를 폐지했다. 의욕만 앞세워 대체 수단도 마련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없애 학생들을 지도·단속할 최소한의 방법조차 없어졌다"고 교권 추락 문제를 거론했고, 지난 2015년 4천198건이었던 학교폭력위원회 경기도 심의건수가 2019년 8천 건 이상으로 증가해 학교 폭력 문제에 교육청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고 봤다.
이와 함께 진보 진영 편향 논란이 있는 특정 라디오 프로그램에 도교육청 라디오 광고 집행액 절반을 몰아주고 이재정 교육감이 조국 전 장관 자녀 논문 문제에 대한 옹호 메시지를 SNS에 올리는 등 '편향 교육' 문제도 지적했다.
임 후보 측은 "사전투표가 시작됐고 이미 유권자의 판단이 내려지고 있다. 13년 동안 펼쳐진 진보 교육의 문제를 유권자들이 체감하고 있어 분명 변화해야 한다는 여론 기류가 읽힌다"면서 "남은 기간 동안 최대한 많은 현장을 다니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