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교육감을 맞는 경기교육의 최대 화두는 코로나19 학력 회복이다. 비대면 수업 장기화에 체험활동과 같은 오프라인 교육이 제한된 상황이 길어지면서 기초 학력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허약해진 교육 기반을 회복하는 것이 급선무다.
올해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됐고 하반기에는 본격적으로 코로나19 이전의 일반 교육 활동이 가능해지는 만큼 대면 교육에 적응하지 못하는 저학년생들이 학교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행정 지원이 필요하다.
학생뿐 아니라 교사들도 비대면 수업에 익숙해 있었던 만큼, 지난 2년 동안 축적한 비대면 수업 노하우는 계승하면서 과거와 같은 일반 교육 과정으로 복귀하는 것이 과제가 될 전망이다.
게다가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있는 신규 택지개발로 신설 학교 문제가 도출되고 있어 정부와 협의를 통해 늦지 않게 학교 신설을 결정하는 것도 주된 과제다. 특히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구도심 학교 공동화, 신도심 학급 과밀화라는 상반된 현상이 나타나는 만큼 지혜로운 해결책이 요구된다.
신규 택지개발로 학교 신설 숙제
지역 교육청 설립 요구 수용 관심
경기도는 31개 시군 모두에 교육 지원청이 설립되지 않고 지역별로 2~3군데 시군을 묶어 운영되는 곳들이 있다. 일선 학교와 교육 수요자들은 지역별 교육청 설립을 요구하고 있어 이를 어떻게 수용할지도 관심이다.
학교 단위에선 행정직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업무 과중화, 교사가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문제가 있다. 이미 경기도교육청은 교사 행정 업무 경감을 위한 학교 업무 재구조화를 기치로 내걸었는데 행정직의 반발이 강하게 제기됐다.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사 행정 업무를 줄이는 일과 행정직에 과도하게 일이 몰리는 것을 모두 해결해야 하는 게 차기 도교육감의 미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운영예산 대부분이 인건비로 소요되는 도교육청의 예산 구성 속에서 선거 기간 동안 제시한 공약에 어떻게 우선 순위를 부여해 실행할 것인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달 동안 인수위가 운영되는 만큼, 인수위 차원에서 공약 실천 로드맵을 제대로 만들어 내는 것이 새로운 교육감 시대의 올바른 출발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