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dgsag.jpg
사진은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선생님이 수업을 하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2009년 김상곤 경기도교육감 당선 이후 경기교육은 줄곧 진보 성향 교육감이 교육 정책을 수립·시행해 왔다.

전국 단위 선거의 의제로까지 부상한 '무상급식'을 비롯해 '혁신학교'와 '꿈의학교', '9시 등교 전면시행'까지 굵직한 진보 교육 정책들이 경기도에서 출발해 전국적인 화제를 이끌었고 경기 교육의 진보 교육의 총본산이라는 평가까지 받았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당선인은 선거 과정에서 과거 교육 정책을 '경기교육의 불편한 진실'이라고 지칭해, 진보 교육을 다각도로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 중 눈길을 끈 것은 혁신학교에 대한 평가였다. 2009년 13개교로 시작한 혁신학교는 올해 1천393개교로 도내 학교 중 57%를 차지했다.

혁신학교로 지정되면 연간 1억원 가까운 지원금을 받고 학급당 학생 수를 줄이거나 초빙교사 및 행정지원 인력 보강과 같은 인센티브가 주어졌다. 임 당선인은 혁신학교의 초기 취지는 좋았으나 지정 학교가 늘어나며 현재는 연간 4천만원 가량의 예산 지원밖에 남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학습 능력 향상이나 진로설정·대학입시와의 연계 등 혁신학교의 성과가 객관적 지표로 측정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임 당선인 "인수위서 과학적 진단"

지난 9일에도 임 당선인은 "경기도 학생들이 서울 대학 진학을 많이 한다는 통계를 제시하며 혁신학교 성과를 홍보하지만 그것이 개인기(사교육 등)에 의한 것인지 학교 교육의 성과인지 분명치 않다"고 말하기도 했다.

임 당선인이 혁신학교 등 진보 교육 정책에 전면 재검토를 시사한 것도 정확한 평가 없이 각종 제도들이 시행됐다고 보기 때문이다. 결국 인수위 차원에서 지난 13년 동안 시행된 교육 정책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고 그에 따른 수정 정책들이 도출될 전망이다.

임 당선인은 "인수위에 각 전문가들이 모였다. 수술을 하려면 진단부터 확실해야 한다. 과학적으로 진단해보고 수술이 필요하면 하겠다. 진보 교육 전면 재평가를 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