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0301000137500005741.jpg
민주노총 공공연대노동조합 경기본부 의정부시장애인종합복지관지회가 지난 2일 의정부시청 앞에서 무기한 총파업을 선언했다. 2023.3.2 /독자 제공

의정부시장애인복지관 운영 위탁 법인과 단체협약을 두고 수년째 갈등을 빚어온 노동조합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다.

3일 시 등에 따르면 민주노총 공공연대노동조합 경기본부 의정부시장애인종합복지관지회(이하 노조)가 지난 2일 무기한 총파업을 선언하고 의정부시청 앞에서 천막 농성에 돌입했다.

의정부시장애인복지관 소속 사회복지사, 치료사 등으로 구성된 노조는 복지관을 수탁해 운영하고 있는 (사)한국지체장애인협회와 줄곧 갈등을 빚어왔다. 노사 양측은 2019년 10월부터 2023년 2월 3일까지 43차 교섭을 벌였으나 근로 면제시간과 회계직원의 조합원 자격 부여 등의 쟁점을 두고 대립하는 중이다.

노사 갈등이 지나치게 장기화하자 김동근 시장까지 나서 지난 1월 중재를 시도했으나, 끝내 결렬되기도 했다.

노조가 파업을 시작하자 복지관은 잔여 인력을 배치해 대응에 나섰지만, 치료실 등 일부 서비스는 차질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분간은 파업으로 인한 이용자의 불편이 우려된다.

노조 관계자는 "4년 동안 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인들에게 최대한 손실을 입히지 않기 위해 대화와 타협으로 문제를 풀려고 했으나, 사측은 시장의 중재도 거부하면서 복지관 이용자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를 자행했다"면서 "시는 위수탁 협약을 준수하지 않고, 시와 장애인에게 피해를 입힌 법인과의 계약 해지를 검토하기 바란다"고 주장했다.

사측 법인은 노조와 대화할 여지는 있으나, 일부 요구는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복지관 관계자는 "법인이 운영하는 복지관만 전국에 25곳으로 모두 같은 방침과 원칙을 적용하고 있는데, 의정부시장애인복지관만 회계 직원의 노조 가입을 용인하는 등의 예외를 둘 수 없다“면서 ”시의 중재안을 끝내 거부한 것은 노조다. 다만 파업 기간 이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시 담당부서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지만, 노사문제에 적극 개입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노조 파업 후 복지관 현장을 방문해 확인했지만, 운영상 큰 문제가 발견되진 않았다"며 "당장 위수탁 계약을 파기할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최대한 빨리 갈등이 봉합되도록 양측의 협의를 도울 방침"이라고 말했다.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