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3월 버스준공영제를 도입한 용인시가 올해 169억원을 투입해 128개 노선에서 총 242대의 공공버스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1년 전 버스준공영제 시작 당시 110개 노선, 165대였던 것에 비춰보면 노선은 18개, 버스는 77대 늘어나게 되는 셈이다.
1년 전 버스준공영제 시작 당시 110개 노선, 165대였던 것에 비춰보면 노선은 18개, 버스는 77대 늘어나게 되는 셈이다.
기흥구 마북동~구성역 502번 마을버스 2대 하루 50회 운행
810-1번 등 4개 노선 준공영제 전환 "취약 지역 시민 편의"
시는 기존에 노선이 없어 불편을 초래했던 기흥구 마북동~구성역 구간에 502번 마을버스 2대를 투입, 하루 50회 운행할 예정이다. 기흥구 언동중학교와 수지구 대지고교 학생들의 통학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26-3번 노선에 1대를 증차하고, 77번(상현역~용인세브란스병원)과 18번(청현마을~기흥구청), 20번(구성래미안~죽전역) 노선에 각각 1대를 추가해 대중교통 환승 편의를 높일 방침이다. 또 이용 수요가 많아 민원이 잦았던 80-2번(진흥아파트~동백이마트), 501번(동백역 순환), 21번(동백역~기흥구청), 53번(현대홈타운~기흥구청) 등도 차량이 1대씩 추가되며 운수종사자의 충분한 휴식 보장을 위해 68번(용인터미널~수지구청) 노선에도 1대를 늘린다.
이 밖에도 민영제로 운영돼 오다 수익성 저하 등으로 운행을 포기한 810-1번(동백월드메르디앙~기흥구청), 810번(초당고~미금역), 51-2번(상갈역~기흥 리빙파워), 58-1번(흥덕11·15단지~죽전역) 등 4개 노선(33대)을 준공영제로 전환해 시에서 노선을 관리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버스준공영제는 시에서 노선을 소유·관리할 수 있어 취약 지역에 대한 노선 신설이 원활해지고 이는 곧 시민 편의로 이어진다"며 "앞으로도 대중교통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810-1번 등 4개 노선 준공영제 전환 "취약 지역 시민 편의"
시는 기존에 노선이 없어 불편을 초래했던 기흥구 마북동~구성역 구간에 502번 마을버스 2대를 투입, 하루 50회 운행할 예정이다. 기흥구 언동중학교와 수지구 대지고교 학생들의 통학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26-3번 노선에 1대를 증차하고, 77번(상현역~용인세브란스병원)과 18번(청현마을~기흥구청), 20번(구성래미안~죽전역) 노선에 각각 1대를 추가해 대중교통 환승 편의를 높일 방침이다. 또 이용 수요가 많아 민원이 잦았던 80-2번(진흥아파트~동백이마트), 501번(동백역 순환), 21번(동백역~기흥구청), 53번(현대홈타운~기흥구청) 등도 차량이 1대씩 추가되며 운수종사자의 충분한 휴식 보장을 위해 68번(용인터미널~수지구청) 노선에도 1대를 늘린다.
이 밖에도 민영제로 운영돼 오다 수익성 저하 등으로 운행을 포기한 810-1번(동백월드메르디앙~기흥구청), 810번(초당고~미금역), 51-2번(상갈역~기흥 리빙파워), 58-1번(흥덕11·15단지~죽전역) 등 4개 노선(33대)을 준공영제로 전환해 시에서 노선을 관리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버스준공영제는 시에서 노선을 소유·관리할 수 있어 취약 지역에 대한 노선 신설이 원활해지고 이는 곧 시민 편의로 이어진다"며 "앞으로도 대중교통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용인/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