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주동안 숙의에 나선 의정부 시민들이 의정부시 자원회수시설(소각장)을 자일동 신규부지에 증설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8일 의정부시 흥선동 행정복지센터 흥선홀에서 열린 '의정부 생활폐기물과 소각 및 처리시설 문제해결 시민공론장' 2차 시민토론회에서 나온 시민참여단의 투표 결과다.
지역, 성별, 연령, 이해관계자 등을 고려해 무작위로 선발된 60명의 의정부시민은 이날 소각장의 규모와 최적 대안, 주민수용성 제고 방안, 후보부지 선정 등 3가지 주제에 대한 토론을 벌였다. 토론에 앞서 주제별로 전문가의 발제 등으로 사전 학습을 진행한 시민참여단은 조별로 나눠 자유롭게 각자의 주장을 펼치고, 때론 경청하면서 소각장 문제 해결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시민참여단은 토론 후 진행된 투표에서 소각장의 증설 필요성에 대체로 공감했다. 의정부시에 필요한 소각장의 규모에 대해 68.4%(39명)이 증설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31.6%(18명)만이 현상 유지 또는 축소를 택했다.
이어 최적의 대안에 대한 투표에선 '신규부지에 소각시설을 신설해야 한다'는 응답이 70.2%(4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현 위치(장암동) 부지 내 신설 19.3%(11명), 현 위치에 대보수 10.5%(6명) 하자는 답이 뒤를 이었다.
소각장 사업에 대한 범시민적 합의를 어떻게 이뤄낼 것인지에 대해선 '시설 현대화와 철저한 관리로 환경오염 최소화', '지역 랜드마크화 및 시설 지하화', '기반시설 등 주민편의시설 설치·확충', '약속이행을 강제할 주민중심 감시기구', '주민 정기 건강검진 통한 의료복지 및 안정성 확보', '정보공개 투명화와 행정 신뢰 확보', '주민 직접 지원 혜택' 등의 아이디어가 나왔다.
마지막으로 소각장 신규 입지 후보 부지를 선정하는 문제에서 시민참여단은 자일동을 최적의 장소로 꼽았다.
자일동 부지가 지목되게 된 데에는 소각장 건설이 가능한 지목에 아직 개발계획이 세워지지 않은 곳, 도로나 공원이 아니면서 상수원보호구역 등 개발제한이 없는 곳, 일정 규모 이상 건축이 가능하면서 경사도가 25% 미만인 곳 등의 조건이 적용됐다.
8일 의정부시 흥선동 행정복지센터 흥선홀에서 열린 '의정부 생활폐기물과 소각 및 처리시설 문제해결 시민공론장' 2차 시민토론회에서 나온 시민참여단의 투표 결과다.
지역, 성별, 연령, 이해관계자 등을 고려해 무작위로 선발된 60명의 의정부시민은 이날 소각장의 규모와 최적 대안, 주민수용성 제고 방안, 후보부지 선정 등 3가지 주제에 대한 토론을 벌였다. 토론에 앞서 주제별로 전문가의 발제 등으로 사전 학습을 진행한 시민참여단은 조별로 나눠 자유롭게 각자의 주장을 펼치고, 때론 경청하면서 소각장 문제 해결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시민참여단은 토론 후 진행된 투표에서 소각장의 증설 필요성에 대체로 공감했다. 의정부시에 필요한 소각장의 규모에 대해 68.4%(39명)이 증설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31.6%(18명)만이 현상 유지 또는 축소를 택했다.
이어 최적의 대안에 대한 투표에선 '신규부지에 소각시설을 신설해야 한다'는 응답이 70.2%(4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현 위치(장암동) 부지 내 신설 19.3%(11명), 현 위치에 대보수 10.5%(6명) 하자는 답이 뒤를 이었다.
소각장 사업에 대한 범시민적 합의를 어떻게 이뤄낼 것인지에 대해선 '시설 현대화와 철저한 관리로 환경오염 최소화', '지역 랜드마크화 및 시설 지하화', '기반시설 등 주민편의시설 설치·확충', '약속이행을 강제할 주민중심 감시기구', '주민 정기 건강검진 통한 의료복지 및 안정성 확보', '정보공개 투명화와 행정 신뢰 확보', '주민 직접 지원 혜택' 등의 아이디어가 나왔다.
마지막으로 소각장 신규 입지 후보 부지를 선정하는 문제에서 시민참여단은 자일동을 최적의 장소로 꼽았다.
자일동 부지가 지목되게 된 데에는 소각장 건설이 가능한 지목에 아직 개발계획이 세워지지 않은 곳, 도로나 공원이 아니면서 상수원보호구역 등 개발제한이 없는 곳, 일정 규모 이상 건축이 가능하면서 경사도가 25% 미만인 곳 등의 조건이 적용됐다.

시민참여단이 입지 후보지를 논의하는 과정엔 적지 않은 논쟁이 있었다. 한 자일동 주민은 "시민 다수를 위해 소수가 피해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다. 답을 정해놓고 우리를 몰고 간다"고 호소했고, 입지 분석 전문가는 "후보지 검토 과정에 인구 수는 전혀 반영하지 않았다. 객관적 지표로 냉정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결국 입지 후보지에 대한 투표에서 시민참여단 53명 중 76.1%(35명)가 자일동 일원을 선택했고, 15.2%(7명)은 가능동 일원, 8.7%(4명)은 녹양동 일원이 적합하다고 봤다.
투표 과정에서 자일동 주민들은 진행을 거부하거나 크게 항의했으며, 1차 투표에서 투표를 거부하는 사례가 나와 재투표를 하는 혼선이 있었다. 투표 후에도 논쟁이 이어졌다.
시민참여단은 오는 15일 다시 모여 소각장 건설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 건강 및 환경 최소화 방안, 자원순환 촉진제도 및 시민참여에 대해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시민 공론장을 진행하고 있는 한국공론포럼 관계자는 "이번 공론장은 소각시설이라는 민감한 현안을 시민 주도의 집단지성을 통해 해결하려는 국내 최초의 시도"라면서 "결과에 대해 개인별로 다른 의견이 있을 수 있지만, 전문가와 많은 시민이 적지 않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고민한 결과라는 점을 알아달라"고 말했다.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