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업체와 경쟁체제 강화

예산 절감 및 효율성 제고

사회적 기업육성 정책은 폐기

3일 화성종합경기타운 대회의실에서 화성시의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대행업체 선정방안 공청회’가 열리고 있다. 2024.6.3 화성/김학석기자 marskim@kyeongin.com
3일 화성종합경기타운 대회의실에서 화성시의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대행업체 선정방안 공청회’가 열리고 있다. 2024.6.3 화성/김학석기자 marskim@kyeongin.com

황금알을 낳는 것으로 알려진 화성시 생활폐기물 수집 운반(청소용역 대행업체)의 대행 방식이 내년부터 대폭 변경된다.

청소용역 대행구역이 3곳 늘어나고 대행할 수 있는 신규업체는 18곳을 추가 선발해 기존업체들과의 경쟁체제를 강화해 예산절감과 효율성을 높여나간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을 6년만에 사실상 폐기하는 방향의 대행업체 운영방식 변화로 사회적기업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시는 3일 화성종합경기타운 대회의실에서 화성특례시 출범에 맞춰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대행업체 선정방안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용역결과를 발표했다.

주민과 기존업체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공청회에서 용역결과를 설명한 지역경제연구원은 적정한 청소용역 대행 규모는 인구 7만5천명선이라며 이를 토대로 현행 12곳의 대행구역을 내년엔 15곳으로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신규 대행업체는 올해 안으로 18곳을 추가 선정해 기존업체(13곳) 등 31개 대행업체들이 대행구역(15곳)에 대한 경쟁입찰을 실시한다는 것이다. 가격경쟁이 아닌 협상에 의한 계약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계약기간은 3년이다.

이를 위해 6월 중에 모집공고를 내고 다음달 심사, 11월까지 대행계약을 체결하고 12월 중 인수인계를 거쳐 내년 1월부터 대행업무를 착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연구원은 화성시 인구는 계속해서 증가해 2030년 18곳, 2035년 20곳의 대행구역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시 관계자는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로 시민에게 폭넓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경쟁입찰과 대행업체를 늘리는 것”이라며 “사회적 기업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논의 대상은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