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기신도시 교산지구 전경.  /경인일보DB
제3기신도시 교산지구 전경. /경인일보DB

하남지역 소재 물류·유통기업들이 정부의 3기 신도시 개발로 인해 울며 겨자먹기로 지역을 떠나거나 폐업하는 상황이 속출(6월12일자 8면 보도)하자 뒤늦게나마 생존권 보장을 위한 대책 협의체를 꾸려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교산신도시에 쫓겨나는 하남 물류기업들

배송車 주차공간 `보상 기준` 빠져기업이전지보다 금액도 크게 적어역외로 떠나거나 폐업 "대책 요구"LH "실사용 다를 경우 제외한 탓"정부의 하남 교산 3기신도시 개발이 본격 시작..

9일 하남지역 소재 물류·유통기업들에 따르면 교산 3기 신도시 개발로 인해 강제 수용된 물류·유통기업 13곳은 최근 ‘3기 신도시 물류유통 대책 협의체’를 구성했다. 협의체는 대부분 이전 대상 기업 2천900여 곳 가운데 최소 1천650㎡ 이상의 부지면적에서 물류·유통업을 영위하는 기업들로 구성됐다.

이들 기업들은 영업에 필수적인 대지가 보상 기준에 들어가지 않으면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기업이전부지보상을 신청하지 않았다. 때문에 현재 관련 기업들은 교산 3기 신도시 개발 진행 상황에 따라 시한부 영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협의체는 지역 물류·유통기업들이 최소한의 영업을 이어갈 수 있는 대책 마련을 LH와 하남시에 각각 요청할 방침이다.

협의체는 LH에 공익목적 개발을 고려해 영업보상 기준에서 제외된 축사용 건물 영업장에 대한 보상 기준 완화를, 시에는 교산신도시 기업이전대책지(광암, 상산곡) 외 추가 기업 이전 단지 마련을 각각 주문한다는 계획이다.

협의체의 한 관계자는 “하남 소재 물류·유통 기업들은 지난 수십년간 환경법과 개발제한구역 등 각종 규제를 적용받는 악조건 속에서 영업을 이어왔다”며 “그러나 정부는 공익목적 개발이란 명분으로 힘들게 이어온 기업들의 마지막 숨통마저 끊으려고 해 더 이상 가만이 있을 수 없어 협의체를 구성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LH는 지난해 9월과 지난 5월 총 2차례에 걸쳐 교산 3기 신도시 개발에 따른 기업이전부지 입주 모집을 진행했다. 하지만 전체 2천900여 곳의 기업 가운데 1천370곳(1차 964곳, 2차 406곳)만 영업보상을 신청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