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진안 공공주택지구의 민·관·공 협의체가 구성된다.

29일 화성시에 따르면 화성진안 공공주택지구는 국토교통부가 ‘공공주도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 확대방안’으로 2021년에 발표한 사업지구다. 화성시 진안·반정·반월·기산·병점동 일원에 426만㎡ 부지에 3만가구 공급(7만2천명)을 계획하고 있는 곳이다. 지난 2월 지구지정 이후 현재 토지이용계획 확정을 위한 지구계획 수립에 들어갔다.

시는 그간 대규모 개발사업에서 주민들의 소통창구가 부재함에 따라 다양한 의견청취 및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민·관·공 협의체 구성을 지속적으로 공공주택사업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요구해 왔다.

이에 따라 지난 17일 시와 LH 실무 관계자, 주민대책위 간 민·관·공 협의체 구성을 위한 사전 간담회가 열렸다. 간담회에서는 실무 당사자들 간 미팅 외 주민 사전 질의에 대한 답변 및 현장 토의가 이뤄졌다.

이에 향후 진안지구 각 주민대책위, 국토교통부, 경기도, 화성시, LH가 참여하는 민·관·공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오는 9월 중 협의체가 정식 구성되면 첫 회의를 갖고 사업추진 경위 및 일정 안내, 주민의견 청취 및 질의응답, 기타 자유 토의 등 보다 구체적인 사항을 진행할 예정이다.

민·관·공 협의체는 향후 2개월마다 1회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구성원 간 합의해 필요 시 추가 개최키로 했다. 주민의견 수렴, 보상절차의 방법·시기, 토지주·원주민·기업의 이주 및 재정착 방안 등을 협의할 예정이다.

민·관·공 협의체의 주요역할은 ▲사업일정, 보상절차, 이주대책 등 협의 ▲주민의견 청취 및 건의사항 수렴 ▲지속적인 스킨십을 통한 원활한 사업추진 ▲보상공고 이후 토지보상법에 의한 보상협의회와 연계 등이다.

정명근 시장은 “화성진안 공공주택지구 민·관·공 협의체 구성이 목전에 있다”며 “협의체를 바탕으로 주민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효과적인 상생방안을 모색해 토지소유자 및 원주민의 재정착을 위한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