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지난 대선 3번째로 투표율 낮아
유권자 성향·선거 구도 변수 존재
활용시 지역정치인 불이익 가능성
민주 “선거운동 독려… 공식 아냐”

더불어민주당이 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국회의원과 지역위원장, 지방의회 의원 등을 대상으로 지역구별 투표율과 득표율을 평가해 향후 공천 평가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인천지역 민주당 인사들 사이에서 지역별 유권자 성향이나 선거 구도에 따라 변수가 존재하는 투표율과 득표율을 평가 지표로 활용하면 지역 정치인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7일 민주당 인천시당 등에 따르면 민주당은 6월3일 대선 지역별 투표율과 이재명 후보 득표율을 집계해 대선 이후 공직선거 공천 평가 지표로 반영하는 안을 추진 중이다. 지역별 득표율은 현역 국회의원과 원외 지역위원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지역별 투표율은 지방의회 의원의 선거 기여도를 따지는 지표로 활용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민주당 소속 한 인천시의원은 “(중앙당에서) 의원들의 의정활동 평가 항목에 대선 투표율과 득표율이 포함될 수 있으니 참고해달라는 내용으로 내려왔다”며 “평가 점수 등 세부 내용은 아직 정해진 게 없지만,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선거 활동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번 평가 방식을 두고 인천지역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과 지방의원들의 긴장감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특히 투표율이 평가 지표로 반영될 경우 지역 정치인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반응이다. 최근 3차례의 선거(2022년 20대 대선, 2022년 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4년 국회의원선거)에서 인천지역 투표율이 번번이 하위권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을 보면 2022년 20대 대선 당시 인천지역 투표율은 74.8%로 제주(72.6%), 충남(73.7%)에 이어 세 번째로 낮았다. 같은 해 열린 제8회 지방선거 역시 인천 투표율은 48.9%로 전국 평균(50.9%)에 못 미쳤다. 광주(37.7%), 대구(43.2%), 전북(48.6%) 등과 함께 낮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총선에서도 65.3%의 투표율을 기록해 전국 평균(67.0%)을 밑돌았다. 투표율이 높은 지역을 비교 대상으로 삼으면 인천에 기반을 둔 정치인들이 불리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전국 단위 선거인 대선 특성상 선거 구도와 후보 공약에 따라 움직이는 표심을 지역 정치인이 붙잡는 것도 한계가 있다. 특히 보수세가 강한 ‘험지’에서 활동하는 의원과 지역위원장들은 더 어려운 상황에 몰릴 수밖에 없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후보의 우세를 점치는 결과가 나오는 가운데 보수 성향 유권자들이 투표장에 나오지 않으면 선거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뛰어도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렵다는 우려다.
인천지역 한 국회의원실 관계자는 “투표율과 득표율을 그대로 적용하면 중구·동구·미추홀구 등 구도심과 강화군·옹진군 등 보수 우위 지역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은 정치하기 어려워진다”며 “상임총괄선대위원장인 박찬대(연수구갑)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도 불리한 구조”라고 했다.
민주당 인천시당은 이 같은 우려에 대해 평가 여부가 결정된 것은 아니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고남석 민주당 인천시당위원장은 “지난 대선에서 0.73%p 차이로 패했던 결과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적극적 선거 운동을 독려하기 위한 차원”이라며 “당 차원에서 평가 방식에 대해 공식적으로 내려온 것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