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등 광역 교통망 현안 언급 1위

수도권 규제 제외·매립지 4자합의도

400개 중 50개… 유기적 협력 필요

市 “선거후 두달 승부처, 적극 어필”

인천광역시청 청사 전경. 2025.3.7 /인천시 제공
인천광역시청 청사 전경. 2025.3.7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민선 8기 공약 중 반드시 실현돼야 할 것들을 선정해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를 낸 정당에 전달했다. 인천시는 이 공약들이 대선 후보자 인천지역 공약으로 반영되면, 사업 동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민선 8기 공약 400개 중 50개 전달… 교통 현안 많아

인천시가 제안한 공약 목록을 보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D·E 조속 건설과 GTX-B 추가 정거장 설치, 수도권 제2순환도로 추진 등 각종 광역 교통망을 구축하는 내용이 가장 많았다.

또 강화·옹진 수도권 규제지역 제외, 수도권매립지 4자 합의 이행, 인천 감염병 전문병원 구축, 경인고속도로·경인전철 지하화 등 굵직한 현안들도 모두 담겼다.

이와 함께 인천시는 ‘제2공항철도 건설’은 ‘인천발 KTX 인천공항 연장’으로, ‘미래지향적 행정체제 개편’은 ‘성공적인 행정체제 개편을 위한 재정 지원’으로 바꾸는 등 민선8기 공약을 상황에 맞게 수정해 제안하기도 했다. ‘청천동 1113야공단 부지 주민 친화형 개발’과 ‘귤현역 앞 탄약고 이전’ 등 유사 현안은 ‘도심 내 군사시설 이전·재배치’로 묶어 전달했다.

인천시는 이 사업들이 대선 후보자 공약으로 채택되면 사업 동력 확보는 물론, 민선 8기 공약 이행률 향상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말 기준 민선8기 공약 이행률은 40.2%(161개)로, 올해 말까지 60%를 달성하고자 한다. 나아가 국가 계획 반영 지연 등 외부 요인으로 주춤한 사업도 정상화한다는 목표인데, 그 방안 중 하나가 대선 후보자 공약 제안인 셈이다.

■ 인천 공약이 대선 지역공약 되려면? 지역사회 협조 절실

인천시의 구상이 현실화하려면 각 정당이 인천시가 전달한 공약을 얼마나 받아들일지가 관건이다. 광역 교통망 구축이나 수도권매립지 4자 합의 이행, 인천해사법원 설치, 항공정비(MRO) 산업 유치 등 다른 지역과 이해관계가 부딪히는 현안은 대선 후보자 공약으로 반영하기에 수월하지 않을 수 있다. 또 인천시가 각 정당에 전달한 공약도 총 50개로 적은 수는 아니다.

결국 인천시는 공약이 최대한 많이 채택되기 위해서는 지역 정치권, 시민단체와의 유기적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봤다. 특히 이번 대선의 경우 새 정부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하는데, 후보자 시절 공약이 그대로 국정과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인천시는 각 정당 외에 국회의원실 등에도 공약을 전달해 그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전(2017년) 사례를 보면 인수위 없이도 선거 후 두 달 정도 주요 정책을 정리하는 기간이 있었다. 이 때가 승부처”라며 “대선 후보자 공약 채택에서 나아가 국정과제까지 반영될 수 있도록 각 당 인천시당과 국회의원실 등에 적극 설명하고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