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대선이 공식 선거운동에 돌입한 가운데 구리시는 강변북로 지하화, 토평2지구에 돔구장 건설, 과밀억제권역 규제완화를 차기 대통령의 과제로 제시하기로 했다.
13일 구리시에 따르면, 시는 이번 대선에 구리시 발전과 경기 동부권 및 국가 전체 경쟁력 향상을 위해 제시할 과제를 이같이 꼽았다.
강변북로 지하화는 경기도가 경기북부 대개조의 일환으로 제시했는데, 시는 시작점을 왕숙천변으로 요구하고 있다.
구리시와 경계를 접한 남양주시에 다산신도시가 개발되면서 구리시를 거쳐 강변북로로 진입하는 차량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구리시와 다산신도시 사이에 왕숙천이 흐르고, 그 지점에서부터 다산신도시 차량이 바로 강변북로를 탈 수 있어야 교통 분산 효과가 높을 것이란 판단이다.
또 구리시는 LH가 추진하고 있는 한강변 토평2 공공주택지구에 ‘돔구장’ 건설을 요구하고 있다.
K팝 등 문화 콘텐츠 공연장을 확보할 목적인데, 같은 산업을 중점 추진 중인 송파·잠실과 8호선으로 쉽게 연결되는 만큼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는 의도다.
대선 때마다 과제로 등장하는 수도권정비계획법 개정에 대한 목소리도 차기 대통령 숙제로 제시됐다.
구리시는 수정법에서 ‘과밀억제권역’에 속해 가장 강도 높은 규제를 받고 있다. 수정법은 과밀억제권역에 인구와 산업이 늘어나지 않도록 신규 공업지역을 허가하지 않는다.
애당초 공업지역이 단 한 곳도 없던 구리시로서는 기업유치를 위해 과밀억제권역의 규제완화가 선행되야 한다는 판단이다.
특히 이웃한 남양주시의 성장관리권역이 구리시 사노동과 인접해 있다는 점에서는 구리시 일부라도 과밀억제권역에서 해제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구리시지역위원회는 GTX-B의 갈매역 정차 등을 대선공약으로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리/권순정기자 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