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역현안

 

‘최대 표밭’ 민심 공략할 공약 주목

역차별 규제로 성장기회 놓친 북부

구체적 언급 없지만 균형발전 공감

‘경기국제공항’ 매듭지을지도 관심

경기도청 북부청사의 모습. /경인일보DB
경기도청 북부청사의 모습. /경인일보DB

전국 최대 표밭인 경기도는 이번 대선에서도 승부를 가를 최전선으로 꼽힌다. 경기도 민심을 공략할 지역현안 발굴은 대선 후보들에게 피할 수 없는 과제다.

특히 이번 대선은 경기도지사를 역임했던 이재명·김문수 후보의 ‘경기 더비’ 대결이면서, 경기도에 지역구를 두고 있는 현역 의원인 이준석 후보도 참전한 만큼 경기도를 놓고 어떤 비전을 내보일지 주목된다.

먼저 경기도에는 남북간 ‘균형발전’이라는 해묵은 논제가 있다. 1992년 대선에서 김영삼·김대중 후보가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그 후 30여년이 지나도록 정치·사회적인 합의를 보지 못했다.

그러는 동안 경기도 남북부의 격차는 점점 벌어졌다. 이는 일정기간 동안에 일정 지역 내에서 새롭게 창출된 최종생산물 가치의 합을 나타내는 지표인 GRDP에 드러난다.

지난 2021년 기준 전국 광역시도 중 경기도의 GRDP는 1위이지만, 경기남부와 경기북부를 분리해보면 각각 2위와 8위로 내려간다. 1인당 GRDP 또한 경기도 전체는 전국에서 7위이지만 경기도를 남북부로 나눠보면 경기남부는 6위, 경기북부는 17위까지 떨어진다.

경기북부는 역차별 규제 등으로 성장 기회를 놓쳐 병원이나 도로 등 인프라가 낙후돼 있는 게 가장 큰 문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이하 경기북도)’ 설치를 추진중인데, 이는 이번 대선에서 후보는 물론 정당별로도 이견이 크다. 국민의힘은 분도와 반대로 오히려 경기도 지자체를 서울로 편입하는 ‘메가시티론’을 주창했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경기북도 설치를 ‘시기상조’라며 유보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이 때문에 본격화된 대선 국면에서도 경기북도 설치는 공약되지 않았다.

다만 이재명 후보는 경선 과정에서 경기북부 국가주도 산업과 SOC 대개발 등 발전방안을 언급했고, 국민의힘에선 경기북부의 이 같은 사정을 가장 잘 아는 김용태(포천·가평) 의원이 비대위원장으로 지명됐다는 게 주목할 만한 지점이다.

민선 8기 경기도의 숙제중 하나인 ‘경기국제공항’ 역시 대선에서 방향을 결정지어야 할 경기도 어젠다다. 경기국제공항은 ‘수원 군공항 이전’과도 맞물려 있는데, 이재명 후보의 경우 지난 20대 대선에서 수원 군 공항 이전을 담은 바 있다.

김문수 후보는 경기도지사 재임 당시 군공항 이전에 목소리를 높였었다. 그러나 공항과의 공역문제에 따른 공군측의 회의적인 태도와 주민 반발 등에 가로막혀 논의를 이어가지 못했다.

반면 화성시는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지역구로, 이 후보는 지난해 ‘수원 군공항 이전 및 경기 남부통합국제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군공항특별법)’의 철회를 강하게 요청한 바 있다.

경기북도도, 경기국제공항과 수원 군 공항 이전도 관련 지역 주민들간 갈등이 얽혀있는 복잡한 사안이다. 이야기의 물꼬가 트이기만 한다면 크게 불이 붙을 논제라는 뜻이다. 이번 대선에서 해묵은 논쟁이 될지, 비전 경쟁으로 뻗어나갈 지도 후보들의 의지에 달려있다는 분석이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