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때마다 ‘인천 바닥권’ 꼬리표
주요 시당들 ‘득표에 유리’ 독려
민주, 이재명 후보 정치기반 민감
국힘, 사전투표 대신 본투표 운동

인천은 투표율이 낮은 지역이라는 꼬리표가 늘 따라다닌다. 낮은 투표율을 얼마나 극복할 것인가가 이번 선거 인천지역 관전 포인트 가운데 하나일 수밖에 없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인천시당 등 주요 정당은 모두 투표율이 높은 것이 득표에도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이번 선거전에 임하고 있다.
1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대 선거 통계를 보면 인천 투표율은 전국 단위 선거에서 바닥권이었다.
가장 최근 치러진 2024년 총선 전국 평균 투표율이 67%를 기록한 가운데 인천은 65.3%로 지난 총선에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2번째였다. 2022년 치러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48.9%로 14번째를, 2022년 대선과 2020년 21대 총선에서는 각각 74.8%, 63.2%의 투표율로 15번째였다.
민주당 인천시당은 이재명 후보와 박찬대 원내대표 등 당의 ‘간판’이 모두 인천을 정치적 교두보 혹은 기반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투표율에 민감하게 신경 쓰는 분위기다.
시당은 이번 대선에서 과반을 넘겨 압도적 득표로 승리하는 목표를 세웠는데, 압도적 득표를 위해서는 높은 투표율을 기록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투표 참여에 시간을 내기가 힘든 노동자, 자영업자 등을 투표장으로 끌어내는 것도 민주당 인천시당의 중요한 전략 가운데 하나다.
선거 유세도 원룸 밀집지역과 산업단지 지역 등 과거 투표율이 저조한 지역 통계를 활용해 주요 공략 대상으로 관리한다. 민주당 인천시당이 진행하는 골목골목 경청 투어에는 이러한 배경이 깔려 있다.
국민의힘 인천시당 역시 낮은 투표율을 끌어올리는 것이 득표에도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투표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던 지지층을 투표장으로 이끌어 내야 선거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인천시당은 온 가족이 함께 투표장에 나설 수 있도록 사전투표 대신 본 투표를 권하는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 1인 가구와 2030세대 투표 독려를 위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종교·시민단체와 협약을 맺고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활동을 준비 중이다.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당내 경선이 ‘컨벤션 효과’를 내지 못했고,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출발했다. 선거운동이 중반을 넘어서면 지지층 결집이 가시화되고, 이는 높은 투표율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