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인천지역 17대 국회의원 당선자의 절반이상은 이라크 추가파병에 원칙적으로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국보다는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현 국가보안법에 대해서는 대체입법 등 개정이 필요하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북한 핵문제는 경제지원 등 유화정책을 통해 해결해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이같은 사실은 경인일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 월드와 공동으로 경기(49명) 인천(12명) 지역구 17대 국회의원 당선자 62명(박순자 비례대표당선자 포함)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면및 면접조사 결과 드러났다.

'이라크에 대한 국군 파병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갖고 있느냐'의 질문에 56.4%가 원칙적으로 찬성하되 시기 지역 등을 재고해야 한다고 밝혔으며 파병찬성도 14.5%로 전체 70.9%가 파병에 동의했다. 반면 파병반대는 27.4%로 조사됐다. 파병반대는 열린우리당 초선당선자들이 응답했다.

'국가보안법을 폐지 또는 개정하자는 의견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갖고 있느냐'의 설문에는 62.9%가 개정 또는 대체입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폐지하는 주장도 29.0%로 나타났다. 현행유지는 4.8%에 불과했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우리나라가 가장 긴밀한 관계를 맺어야 할 국가는 어디라고 생각하느냐'의 물음에는 58.0%가 중국을 꼽았다. 과거 50년 우방인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응답은 32.2%로 나타났다. 대미의존 외교정책에서 벗어나 중국을 중시하는 외교정책으로 바뀔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대미관계에,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대중관계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북한 핵문제와 관련한 대북정책은 어떤 방향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느냐'의 설문에는 85.4%가 경제지원을 통해 유화정책을 우선적으로 선택했다. 이에따라 17대 국회에서는 햇볕정책으로 불리는 대북 경제지원정책이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군사력 우위에 의한 전쟁억제력 강화라는 답변은 8.0%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