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운정신도시(500여만평, 6만여세대)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소각장 건설사업을 두고 건설교통부와 환경부, 주민간 날카로운 대립을 벌이고 있어 사업이 표류되고 있다.

   파주시와 주공은 운정지구내 1만여평 부지에 하루 100t 처리용량의 소각장을 2009년 초 신도시 최초 입주전 건립하기로 했다.

   시와 주공은 이를 위해 공청회 등 주민 의견수렴을 거치는 한편 최근 환경부에 사전환경영향평가서를 제출했다.

   주공측은 "운정소각장은 친환경 시설로 건설돼 주민들의 편의공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주민들을 설득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부와 주민들은 주공이 제출한 운정소각장 사전환경영향평가서 분석결과 "기존 낙하리소각장에 잉여량이 있으니 굳이 운정소각장을 건립할 필요가 없다"며 반대입장을 건교부에 전달했다.

    파주, 김포시가 공동 운영하는 낙하리소각장은 하루 200t처리용량(파주 120t, 김포80t)으로 현재 하루 90t만 처리되고 있어 110t을 더 처리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건교부 등은 이에 대해 "당초 운정신도시 1, 2차 발표 때는 285만평 개발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말 3차 발표로 212만평이 추가돼 수용인구(약 15만명)가 훨씬 더 늘어났다"며 "500만평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하루 최소 100t(최대 160t예상)에 이르러 자체 소각장을 건립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특히 김포시도 신도시 건설로 향후 소각 필요 폐기물이 급증, 운정소각장을 짓지 않고 낙하리소각장만으로는 처리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일부 폐기물 전문가들은 "일본 등 환경선진국은 자체소각장 건립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면서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배출감시를 철저히 한다면 주민 피해를 거의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선진국 소각장이 친환경시설로 오히려 주민들이 반기는 시설이 된 만큼 일방적 반대보다는 마을 이익을 챙기는 형태로 수용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