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 치러진 타 시도 교육감 선거의 투표율은 부산 15.3%, 충남 17.2%, 전북 21%, 서울 15.5% 등으로 평균 17%대에 머물고 있다. 경기도라고 해서 특단의 대책이나 유권자들의 관심제고 방안이 없는 한 투표율이 높지는 않을 전망이다. 그렇게 되면 주민 대표성은 차치하고라도 그렇게도 열망하던 진정한 교육자치는 멀어질 수밖에 없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투표의향이 없는 이유로 '후보를 잘 몰라서(33.3%)' '교육감선거에 관심이 없어서(33.1%)' '시간이 안 돼서(22.9%)' '마음에 드는 후보가 없어서(4.3%)'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설문결과만을 놓고 보았을 때 결국은 홍보부족이라는 결론에 이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를 놓고 선관위나 언론, 교육관련단체의 잘못으로만 치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주민의 관심도와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사실 그동안 선관위에서는 각종 광고 및 이벤트 시행, 투표시간 연장, 인센티브제 운영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던 것이 사실이다. 지금도 시내 곳곳에 교육감 선거를 알리는 대형 광고탑과 플래카드 등이 즐비해 있고, 각급 학교에서는 가정통신문을 통해 투표참여를 독려한다. 각 언론에서도 공약검증과 정책중심의 매니페스토 선거가 될 수 있도록 홍보를 서두르고 있으나 아직 시민들의 피부에는 와 닿지 않은 것일 뿐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각 언론사별로 후보의 지지율을 조사한 것을 보면 기관마다 들쭉날쭉이다. 조사기관에 따라 1위를 달리는 후보가 각각 달라 후보자나 유권자들마저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여론조사의 신뢰성마저 의심받고 있는 게 어찌 보면 당연하다. 이 같은 마당에 선관위나 언론기관 혼자의 노력만으로는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그것도 평일에 생업에 바쁜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어내기에 역부족이다. 선거 자체를 홍보하기보다는 왜 투표를 해야 하는가에 대한 당위성을 유권자들이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급선무라 생각한다. 교육자치가 걸어온 길과 이에 대한 중요성, 경기교육의 당면과제, 교육감이 하는 일, 교육감 선거에 꼭 참여해야 하는 이유 등에 관해 주민들이 알기 쉽게 설명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이에는 선관위와 언론은 물론 교육행정기관 오피니언리더 교육관련단체들 모두가 나서야 한다.
각 예비후보자들도 선거사무실을 개소하고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돌입한 마당에 정책중심의 선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자칫 선거전이 과열 양상이 된다면 교육계 선거답지 않게 상호비방과 헐뜯기로 이어질 수도 있다. 직선제 이후 충남을 비롯한 전국 여러 시도의 교육감들이 검찰수사로 중도하차하고, 서울시교육감은 현재 1심에서 당선무효형을 선고받았다. 불법선거는 이렇듯 법의 심판을 받는다는 점을 인식해 정정당당하게 지역교육의 발전정책으로 승부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제 4월 8일이면 8조원에 이르는 예산과 8만명에 이르는 교직원 인사를 집행하는 교육수장을 뽑는다. 지역교육 발전을 위한 정책집행자를 투표를 통해 위임하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교육참정권을 포기한다면 학부모로서의 권리를 포기하는 것과 다름없다. 교육에 관해 논할 자격도 없다. 경기도민들이 투표참여로 현명한 선택을 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