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김명래·김명호·이현준기자]13명의 사상자를 낸 송도 경비행기 추락 사고(경인일보 9월28일자 19면보도)와 관련 인천시 관련 공무원들이 연날리기 행사를 중단시키지 않은 채 도시축전 상공 비행을 요청한 정황이 확인됐다. 시 공무원들이 사고 위험 속에서도 운항을 요구한 사실이 드러나면 처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사고 발생일 전날 도시축전 주행사장 상공에서 경비행기(항공법상 초경량비행장치)를 운항한 조종사 A씨는 "토요일 비행을 마치고 위험하다는 소문이 돌아 비행사들이 안 가려고 했다"며 "일요일(27일) 아침이 되니 인천시가 (축하비행을) 한 번 더 해달라고 요청을 했다"고 주장했다.
A씨는 토요일 비행에서도 가오리연줄이 상공에 떠 있어 비행이 굉장히 위험했다고 전했다. 26일 비행은 두시간 간격으로 오후 1시 40분, 3시 40분, 5시 40분 등 세 차례 이뤄졌다. 조종사들은 시에 지속적으로 연을 치워달라고 요청했지만 후속조치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고 A씨는 말했다.
그는 "토요일에 운항할 때 연줄과 연줄 사이를 지나가야 했다. 나도 죽을 뻔했다"며 "토요일 마지막 비행을 마치고 조종사들이 '이젠 (비행을) 안 한다'고 돌아갔다"고 했다.
그러나 사고 당일 오전 인천시 공무원의 요청으로 비행이 강행됐다고 A씨는 설명했다. 이날 바람이 세게 불었고, 연날리기 행사도 계속됐다. A씨는 "줄연은 바람이 세면 땅과 가까워지고, 바람이 약하면 위로 다시 선다"며 "사고 당시 바람이 약해 연이 위로 섰다. 이 과정에서 연줄에 걸려 사고가 난 것"이라고 말했다.
사망 사고가 발생하고 하루가 지났지만 인천시는 정확한 사고 경위를 파악하는 것보다 책임 회피에만 급급하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사고 전날 연날리기 행사가 언제, 어떻게 이뤄졌는지조차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오락가락한다.
사고 비행기가 안산비행장에서 이륙한 사실도 파악하지 못했다. 송도비행장이 아닌 안산비행장에서 이륙해 인천 상공까지 올 경우 비행기 조종사가 서울지방항공청에 승인을 받아야 하지만, 이 절차도 밟지 않았다. 인천시 담당 공무원들은 28일 모두 자리를 비웠고, 연락조차 되지 않았다.
인천 연수경찰서는 축하비행에 참가한 조종사들을 모두 불러 조사하기로 했다. 또 시 공무원들을 불러 안전위험 요소를 제거하지 않고 축하비행을 추진한 사실이 드러나면 업무상 과실치사, 항공법 위반 혐의 등을 적용해 처벌하는 방침을 세웠다.
"市공무원 위험알고도 비행요구"
경비행기 추락사고… 조종사들 "연줄제거"지속요구 묵살
입력 2009-09-28 21: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9-09-29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경비행기 연줄걸려 도시축전장 추락
2009-09-27
-
인천시 안전불감증이 禍…
2009-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