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전상천기자]경기도내 건설업체의 회복 여부는 관급공사를 어느 정도 수주하느냐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아파트 미분양 사태로 주택사업이 잇따라 포기되거나 지연되면서 일감이 급격하게 줄면서 자구책으로 현금을 만질 수 있는 관급공사로 대거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도는 지난해 서울보다 15조원이 더 많은 32조원의 관급공사를 발주했다.

도내 건설업체들중 일부는 지난해에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발주한 한강살리기사업 전체 7공구중 이포보~백석리보 구간 등 3·4·6공구에 (주)동양건설산업 등 지역 건설업체가 각 28%, 28%, 30%씩 참여했다. 9공구에선 수원 대림건설(주)이 50%를 행사한다.

또 도가 시행하는 한강 팔당댐~양평대교 구간(2공구)에 화성 금강종합건설(주)이 60%를 참여하는 등 1·2·5공구에 지역 건설사가 참여하는 등 도내 곳곳에서 발주된 관급공사에 지역 건설업계가 구름떼처럼 몰려들었다.

공사 진척도에 따라 즉시 현금을 받을 수 있는 관급공사는 지역 건설사들의 유일한 숨통이기 때문이다.

올해도 미분양 주택으로 자금줄이 묶인 건설업체들은 대부분 신규 사업을 중단한 채 미분양 물량 소진에 들어간 상태다. 이에 따라 민간 공사를 통한 지역 건설업계의 활황은 기대하기 힘든 상태다. 때문에 지역의 종합건설업체(2만2천여개)와 전문공사업체(1만1천여개)들은 올해도 도나 산하기관이 올해 발주할 관급공사 2조5천527억원 수주가 곧 살길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