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닫히면 안되는데… 24일 오전 파주시 통일대교 남단이 바리케이드로 가로막혀 있다. 전날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군 경계가 강화되면서 대성동 주민 외 민간인은 통일대교 진입이 통제됐다. /연합뉴스

[경인일보=김명래기자]북한군의 연평도 포격으로 민간인 사망자까지 발생하자 그동안 남북협력사업에 공을 들여온 송영길 인천시장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송 시장은 24일 인천시의 대북사업 전망을 묻는 질문에 "지금 그것을 말할 단계가 아니다"고 짧게 답했다. 인천시장으로서 연평도 주민피해 지원에 온 행정력을 쏟을 시기에 남북협력사업의 전망을 얘기하는 건 너무 이르다는 뜻이다. 또 23일 연평도 포격이 발생한 뒤 남북협력사업에 대한 내부 검토를 거칠 시간도 없었다.

시 안팎에서는 시가 앞으로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남북협력 기조'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있다. 송 시장은 '남북화해평화 전진기지 인천'을 시정 슬로건의 하나로 삼았다. 남북이 대결구도를 오래 지속할 수 없을 것이란 예측도 있다. 접경지대인 인천이 남북평화를 이끌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반면 남북 경색국면의 장기화를 예상하는 이들도 있다. 그동안 남북관계는 '개선'과 '경색' 국면을 오가며 관계를 지속해 왔지만, 민간인 사상자까지 낸 북한의 이번 공격은 유례가 없는 도발이라는 이유에서다. '북한 비난 여론'이 확산되는 상황도 부담이다. 민간인을 포격한 이번 사건에 대해 일부 민간 대북지원단체들조차 북측을 비판하고 나선 상황이라고 한다.

당장 인천시 대북사업의 전망은 불투명하다. 대북사업을 총괄하는 통일부가 '강하게 나올 것'이란 전망이 많다. 통일부는 5·24 대북조치 이후 북한 영유아 등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사업을 허용했지만 이마저도 중단될 것이란 예측이 많다.

인천시는 내년 남북협력사업으로 '말라리아 공동방역',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 지원',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실천방안 마련 연구', '10·4선언 기념식·국제학술회의', '체육물품 지원', '스포츠 교류' 등에 20억원의 기금을 쓸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