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피난민이 된 연평도 주민들이 24일 오후 해경선을 타고 인천에 도착해 임시 대피시설인 시내 찜질방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김범준기자 bjk@kyeongin.com

[경인일보=정진오기자]왜 또 인천인가.

1999년 6월 제1차 연평해전, 2002년 6월 제2차 연평해전, 2009년 11월 대청해전, 2010년 3월 백령도 앞바다 천안함 침몰, 2010년 11월 연평도 포격. 일만 터지면 인천이다.

남북이 서해에서 충돌할 때마다 가장 큰 피해를 당하는 곳은 인천이다. 이번에는 민간인 밀집 거주지역이 무차별 포격을 당했다. 인천은 영락없는 국제적인 '분쟁지역'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는 인천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게 여러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24일 오전 김태영 국방부 장관의 국회 긴급현안보고에서는 인천 주민의 심경을 그대로 담은 듯한 내용이 얘기됐다.

한 의원이 서울 광화문에 폭탄이 떨어졌을 때와 인천 연평도가 포격된 상황의 차이가 무엇이냐고 김 장관에게 따졌다. 김 장관은 '그건 비교가 안 된다'고 했다가, '다같은 대한민국이다'고 하는 등 답변을 머뭇거렸다. 질문한 의원은 광화문과 연평도가 똑같은 대한민국의 땅이 아니냐는 취지로, 정부의 대응이 너무 안이한 것 아니냐는 차원에서 물은 것이었다.

지금까지 서해에서 교전이 있을 때마다 정부는 "다시 이런 일이 있을 경우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말을 되풀이 해 왔다.

특히 지난 봄 우리 해군 함정이 두 동강 났을 때도 북한을 향한 강경한 대응책을 천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해를 넘기기 전에 인천에서 또 터졌다.

그동안 빚어진 서해 교전과 정부 대응을 돌이켜 보면, 인천이 볼모로 잡혀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는 게 인천시민들의 한결같은 얘기다. 북한 측도 지상전을 피한 채 서해에서의 국지전을 노림수로 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NLL을 분쟁거리로 만들고, 국제적인 관심이 북한에 쏠리게 하기 위해 택하는 서해 도발이 일어날 때마다 우리는 속수무책으로 당하고만 있는 처지다. 여기에 우리가 말려들고 있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정부는 사태가 터질 때마다 주민들에게 만족할 보상도 해주지 않았다.

가장 큰 문제는 앞으로의 대응이라고 할 수 있다. 인천이 또 타깃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천에서 더 이상 분쟁이 터지지 않도록 하는 확실한 보장장치가 마련돼야 한다. 남북관계가 경색될 경우 인천이 입는 경제적 손실도 크다. '국제도시'로서의 이미지 손상은 더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