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경찰내부에서는 경찰의 부실수사와 거짓대응 등으로 유사이래 최대의 징계가 단행될 것이란 전망속에 징계대상자와 처벌수위를 놓고 초상집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다.
9일 경찰총수인 조현오 경찰청장이 사퇴한데 이어 서천호 경기지방경찰청장도 사의를 표명했다.
이에앞서 경기경찰청은 이 사건과 관련, 이미 지난 6일 '부실대응' 논란을 빚은 수원중부경찰서 김평재 서장(총경)과 조남권 형사과장(경정)을 경기지방경찰청 경무과로 대기발령했다.
경찰청은 이들 외에도 사건 감독자 5명과 경기경찰청 112 신고센터를 총괄 관리하는 경기청 생활안전과장, 112센터장 등 10명 안팎에 대한 강도높은 감찰에 착수한 상태다.
지난 3일간 수원 중부서와 경기경찰청에 파견된 경찰청 감찰팀은 경기청 112신고센터와 지휘·감독 등 관련라인이 사건 당일에 중부서 등과 통신한 내용을 살펴보고 상급기관으로서 충분한 조치를 취했는지를 들여다봤다.
또 사건이 진행되는 동안 당시 현장에 출동했던 지구대 팀은 물론 수원 중부서의 수색활동과 관련해 과정상 문제점이 없었는지 집중 점검했다.
여기에다 오씨가 "피해여성을 납치한 다음날 새벽 5시에 살해했다"고 진술, 오랜시간 수사방향을 잡지 못하고 사실상 살해를 방치한 점, CCTV에 촬영이 됐음에도 불구하고 최종적으로 분석을 하지 않은 점 등 경찰의 새로운 부실수사가 속속 드러나면서 징계 범위는 확대될 것이란 분석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본청 감찰부서 직원 7명을 현지에 보내 지난 6일부터 3일동안 감찰을 진행했다. 사건 신고접수부터 지령, 현장조치 등 일련의 과정에 대해 종합적 감찰조사가 이뤄졌다"며 "경무관급 이상의 경찰 수뇌부에 대한 감찰도 고려중이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경기청 관계자는 "현재 종합적으로 감찰을 조사중이다. 10여명 선의 징계를 예상하지만 결정된 사안은 없다"면서 "경찰이 너무 엄청난 과오를 저질러 이에따른 문책에 대해 많은 경찰들이 각오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조영상·이경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