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영 사표수리.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계동 보건복지부에서 이임식장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기초연금 축소를 둘러싼 청와대와의 갈등을 이유로 사표를 제출한 뒤 업무를 거부해 온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의 사표 수리 방침이 30일 우여곡절 끝에 확정됐다.

이로 인해 '항명 논란'으로까지 번졌던 이번 사태는 일단 외견상 진정 국면으로 접어든 양상이지만, 사태를 불러온 기초연금 논란의 '불씨'는 여전한 만큼 국정 운영의 난기류가 말끔히 걷혔다고 보기는 힘들다.

여기에다 야당과의 대치로 정기국회에서 예산안이나 민생입법 통과가 여의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정국 위기설을 부채질하는 요소들이다.

이 때문에 박근혜 대통령이 조각 과정에서 불거진 취임 초기의 인사파동 이후 최대 위기에 봉착한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박 대통령이 봉착한 '복합 위기'를 어떻게 헤쳐나갈지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정공법'을 택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기초연금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서는 현 재정 형편상 불가피한 측면이 있음을 호소하고 임기내에는 반드시 이를 지키겠다는 점을 거듭 강조할 것이라는 얘기다.

그러면서도 후반기 최대 역점 사안인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전념할 것으로 보인다.

기초연금 공약을 임기내에 최대한 빨리 지키기 위해서라도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이 급선무라는 판단인 셈이다.

▲ 진영 사표수리.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계동 보건복지부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묵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기국회에 산적한 각종 민생입법과 내년도 예산안을 야당의 협조 아래 처리하는 것도 버거운 과제다.

야당이 이들 사안을 국정원 개혁 이슈 등과 연계할 가능성이 커보이는데, 이에 대한 박 대통령과 야당간 입장은 괴리가 현저하다.

박 대통령은 이런 상황에서 계속해서 '민생'을 공개리에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

야당과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으니 '민생'을 앞세워 '우회 압박'을 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공석인 감사원장·복지부장관 그리고 검찰총장 등 장관(급) 이상 고위 공직자들의 자리를 채우는 것도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이 "분명하게 개각은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준(準)개각' 수준의 후임 고위 공직자 인선 작업을 앞두고 박 대통령의 고심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정의종기자

▲ 진영 사표수리.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계동 보건복지부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이임사를 마친 뒤 직원들과 악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진영 사표수리.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보건복지부 청사에서 열린 이임식을 마친 뒤 차에 오르며 웃음을 보이고 있다. 진 장관은 '기초연금 갈등' 끝에 취임 약 200일 만에 스스로 물러났다. /연합뉴스

▲ 진영 사표수리.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계동 보건복지부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직원들과 악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진영 사표수리.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보건복지부 청사에서 열린 이임식을 마친 뒤 준비된 차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