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GCF(녹색기후기금) 사무국, 세계은행(WB) 한국사무소 출범으로 인천이 실질적인 국제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인천시는 지난 2006년부터 국제기구 유치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어 10여개 기구를 송도로 끌어왔다. 그러나 대부분 소규모 연락사무소 개념으로 전 세계가 주목할 수 있는 앵커 기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계속 제기돼 왔다.
시는 2006년 UNAPCICT(아·태 정보통신기술교육원) 유치를 시작으로, UNESCAP(아·태 경제사회위원회 동북아지역사무소), NEASPEC(동북아 환경협력프로그램) 사무국, UNISDR(유엔 재해 경감 국제전략) 동북아사무소 등 10여개 기구를 유치했다. 문제는 내실에 있다.
인천이 과거 유치했던 이런 국제기구에서 근무하는 상주 인원은 적게는 1명에서 많아야 15명 수준으로, 우리가 기대했던 만큼의 국제기구 유치 효과는 가져오지 못했다.
이 때문에 인천시가 전시용으로 연락사무소 수준의 기구를 유치한 후, 시장 치적 쌓기용으로 활용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왔다.
정부 또한 우리나라에 있는 41개 국제기구 중 상주 근무인원 10명 이하의 소규모 기구가 73%를 차지하고 있어, 이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다는 분석 자료를 내놓기도 했다.
GCF 사무국과 세계은행 한국사무소는 이런 소규모 국제기구와 격이 다르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GCF 사무국에는 각국에서 모인 최대 500여명의 직원이 상주하며, 전 세계가 풀어야 할 숙제인 기후변화 방지를 위한 전략과 실행 계획을 세우게 된다.
2020년까지 선진국에서 내놓은 1천억달러의 환경 자금을 운용하며, 개발도상국 지원과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크고 작은 국제회의도 개최한다. 이로 인한 유·무형의 기대 효과는 돈으로 환산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얘기다.
이번에 GCF 사무국과 함께 출범한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또한 GCF의 기금 운용 일부를 담당할 것으로 보여, 두 국제기구로 인한 시너지 효과도 클 것으로 예측된다.
/김명호기자
'격이 다른' 국제기구 유치… 인천, 국제도시로 발돋움
각국 최대 500명 직원 상주
2020년까지 1천억弗 운용
"유·무형 기대 효과 클것"
입력 2013-12-05 00:2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3-12-05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송도국제도시 GCF(녹색기후기금)·WB(세계은행)를 품다
201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