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치러진 4회 지방선거 투표율 46.7%보다는 5.1%p 소폭 상승했으나 1회 지방선거 투표율 63.2%와 비교해서는 무려 11.4%p나 떨어졌다.
지금까지 치러진 다섯번의 지방선거 평균 투표율은 절반(51.3%)을 조금 넘긴 수준이다. 전국 평균(55.2%) 역시 사정은 비슷하다.
주민생활과 밀접한 동네 '참일꾼'을 뽑는 지방선거의 투표율이 이렇게 낮은 이유는 정치에 대한 근본적인 '불신' 등이 상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3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간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관한 유권자 의식조사'에서 투표 참여의향이 없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경인지역 유권자의 32.7%가 '투표해도 바뀌는게 없어서'를 선택했다.
이어 '정치에 관심이 없어서(22.4%)', '후보자에 대해 잘 몰라서(21.8%)', '개인적인 일·시간 때문에(15.1%)' 등의 순이다.
당시 의식조사를 담당했던 (주)코리아리서치센터 관계자는 "4회 지방선거 유권자 의식조사와 마찬가지로 유권자의 정치불신이 투표참여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처럼 유권자들이 정치를 불신하는 이유는 책임정치가 실종됐기 때문이다. 당리당략에 휩쓸려 실망감만을 안겨주는 것이다. 물론 유권자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
정치인들을 신뢰하지 않다보니 상충되는 이해관계로 불거진 여야의 문제해결 과정을 단순히 정파싸움으로만 인식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문제는 낮은 투표율은 대의민주주의의 근간을 뒤흔든다는데 있다.
정당 관계자는 "'정당의 위기'라는 말이 회자될 정도로 정치에 대한 불신이 심각하다"며 "정치가 특정 이익집단의 대변이 아닌 사회갈등을 줄이는 연결체로 역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