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이 모바일-데스크톱-클라우드의 편리한 연동에 중점을 둔 새 운영체제(OS)들과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 그리고 개발자들을 위한 새 프로그래밍 언어 등을 일제히 발표하면서 '사용자 통합환경'을 구축했다.
애플은 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코니 센터 서관에서 열린 애플세계개발자대회(WWDC) 2014 개막 첫날 기조발표에서 모바일 운영체제(OS) 'iOS8'과 데스크톱용 OS X '요세미티'를 선보였다.
또 이들과 연동되는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인 '아이클라우드 드라이브'도 발표했다.
일단 기기 사용자에게 가장 중요하고 직관적인 요소인 인터페이스를 통합하고 편리하게 한 점이 단연 눈길을 끈다
애플은 이번에 발표한 데스크톱용 'OS X 요세미티'의 인터페이스를 iOS에 더욱 가깝게 만들었다.
맥 데스크톱 화면에 사이드바를 띄우고 위젯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정할수 있도록 한 점도 통합 인터페이스 조성의 예다.
기기를 바꿔서 쓰더라도 곧바로 그 직전까지 했던 작업을 이어서 하도록 해 주는 '핸드오프'를 도입한 점도 주목할 만했다.
![]() |
▲ 애플, WWDC서 'iOS8·요세미티' 발표. 애플의 크레이그 페더리히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수석부사장이 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애플세계개발자대회(WWDC)에서 모바일 운영체제(OS) iOS 8과 데스크톱용 OS X '요세미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컴퓨터 화면과 대형 화면에 국립공원 요세미티의 경관이 비치고 있다. /AP=연합뉴스 |
예를 들어 소파에 앉아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로 이메일 답장을 쓰고 있다가 좀더 본격적으로 작업하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나 책상에 놓인 맥 쪽으로 가면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에서 작성하고 있던 메일이 맥에 바로 뜨게 된다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메일 작업을 마무리한 뒤 바로 보내면 된다.
아이폰으로 전화가 걸려 올 경우에도 아이폰에서 받을 필요가 없이 맥에 뜨는 창을 통해 스피커폰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한 점도 통합 사용환경의 편리함을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맥 컴퓨터 앞에서 일을 하는 중이었다면, 핸드백 안에 있거나 충전기에 꽂혀 있는 아이폰을 굳이 꺼내지 않더라도 통화와 업무 처리가 동시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애플은 또 iOS 8과 요세미티에서 오프라인(사용중인 기기)과 온라인(인터넷 웹사이트 등)뿐만 아니라 클라우드(아이클라우드 드라이브)까지 아우르는 통합 검색창을 도입했다.
이날 행사장에서 공개한 요세미티의 통합 검색창과 사이드바는 겉보기로는 마치 애플의 전자비서 서비스 시리가 제공하는 정보 창이나 구글 나우의 데스크톱·모바일 검색·카드를 적절히 혼합한 듯한 느낌을 줬다.
또 '아이클라우드 드라이브' 서비스의 연동과 싱크 역시 OS 차원에서 통합 구현된다. 홈 서버와 같은 '통합 허브'를 두지 않고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강화하고 OS 차원에서 기기-기기간, 기기-클라우드간 네트워킹을 강화해 기기 사용 환경 통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런 방향은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른 IT 기업들도 추구하고 있는 바이지만, 아이폰·아이패드·맥 등 애플 기기를 쓰는 고객들의 특징을 감안할 때 초기 확산에서는 애플이 꽤 유리한 위치에 있다.
이는 충성도 높은 애플 고객이 있기 때문이다. 각종 통계를 보면 콘텐츠나 서비스 구매, 데이터 사용량 등에서도 다른 기기 사용자들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하드웨어·소프트웨어·콘텐츠·서비스 통합의 완성도가 더 높아진다면 빠르게 '통합환경' 사용이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특정 회사를 이용하게 되면 경쟁 서비스 상품으로의 이탈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애플이 아이클라우드 드라이브의 사용료를 경쟁 서비스들과 유사한 수준으로 낮추고, 또 이를 통해 자동으로 동기화되는 콘텐츠의 유형 제한을 없애기로 한 것은 이런 점에서 주목된다.